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민족문화논총 제84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龍巖 朴雲의 삶과 道學

용암 박운(1493~1562)은 조선 중기 경상도 선산(善山) 출신의 도학자다. 그는 소과(小科)에 급제한 뒤 벼슬에 나아가는 것을 단념하고 40여 년간 자신의수양을 위한 공부에 전념하였다. 1646년 선산의 낙봉서원(洛峯書院)에 배향된그는 선산을 대표하는 도학자로 자리매김되었다. 전국적인 지명도를 얻지는못했지만 경상도 북부 지역에서는 그의 학문적 영향력이 적지 않았다. 그는50세 이후로 『격몽편(擊蒙編)』과 『자양심학지론(紫陽心學至論)』 같은 성리학-심학(心學) 관련 저술을 편찬하였다. 이것은 일차적으로 초학자들을 위한 안내서이자 입문서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성격상 『격몽편』이 ‘초학(初 學)’에 해당하는 것이라면 『자양심학지론』은 ‘성학(成學)’에 연결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두 저술은 전후로 짝맞춤을 이룬다. 짝맞춤이란 ‘계획적인 저술’이라는 의미다. 박운의 양대 저술은 조선 성리학사에서 중요한 자료다. 도학을 공부하려는 사람들에게 그 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공을 가볍게 볼수 없다. 성리학 발전사에서 그의 공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Yong-ahm Park Woon (1493~1562) was a Neo-Confucian scholar from Seon-san, Gyeong-sang province living in the mid-age of Joseon dynasty. He passed a national exam of recruiting loyal servants but decided not to become a loyal servant, and then he had devoted himself for discipline for about 40 years. In 1646, he was enshrined in Nak-bong Confucian school located in Seon-san and positioned as a Neo-Confucian scholar representing Seon-san. Even if he did not gain a nationwide reputation, he had a large academic influence in the northern area of Gyeong-sang province. Since 50, he had written Neo-Confucianism related books especially for study of mind such as 『GyeokMongPyeon (擊蒙編)』 and 『JaYangSimHakJiRon (紫陽心學至論)』, which firstly played the role of a guide book and an introduction book for beginners. However, 『GyeokMongPyeon』 was for beginning of study while 『JaYangSimHak- JiRon』 for achievement of study. Therefore, these two books are combined; one for the former part and the other for the latter part, which means that they were written by design. Such two books of his are important data f or Neo-C onfucian h istory o f Joseon dynasty. They are highly positioned in the aspect that they suggest the way of studying for those who want to study Neo-Confucianism. His contribution to the history of Neo-Confucianism cannot be ignored.

Ⅰ. 머리말

Ⅱ. 도학자로서의 삶

Ⅲ. 도학의 세계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