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뒤르케임과 마르크스의 분업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 탈사회적 개인화 현상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업의 상호의존성은 사회적 연대를 창출한다. 뒤르케임에 따르면, 분업의 상호의존적 속성이 분업의 발달로 강화되면서 사회적 연대를 창조한다. 둘째, 분업과 상호의존성의 관계는 필연적이지 않다. 마르크스가 지적한 것처럼, 분업은 완전히 불평등한 의존관계를 창출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셋째, 분업의상호의존성 약화나 소멸은 탈사회적 개인화 현상을 초래한다. 분업의 상호의존성이 소멸하거나 약화해 사회적 연대의 가능성이 희박한 상황에서 사람들은 저마다의 살길을 찾아 나설 수밖에 없다. 한국사회의 탈사회적 개인화 현상은 이렇게 도래하게 되었다.
In this study, I tried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post-social individualization phenomenon in Korean society, focusing on the theory of the division of labor of E. Durkheim and K. Marx.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dependence of the division of labor creates social solidarity. According to E. Durkheim, the interdependent nature of the division of labor is strengthened by its development, creating social solidarity.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division of labor and interdependence is not inevitable. This is because, as K. Marx pointed out, the division of labor can also create completely unequal dependencies. Third, The weakening or extinction of the interdependence of the division of labor leads to the phenomenon of post-social individualization. In a situation where the interdependence of division of labor has disappeared or weakened and the possibility of social solidarity is slim, people have no choice but to find their own way to live. The phenomenon of post-social individualization in Korean society came about in this way.
Ⅰ. 머리말
Ⅱ. 뒤르케임(E. Durkheim)의 분업론
Ⅲ. 마르크스(K. Marx)의 분업론
Ⅳ. 탈사회적 개인화 현상의 원인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