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9 No.8.jpg
KCI등재 학술저널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한 탄소중립 인식에 관한 실증 분석

Empirical Analysis of Carbon Neutrality Perceptions to Overcome the Climate Crisis in Chungbuk, Korea

DOI : 10.14251/crisisonomy.2023.19.8.89
  • 95

본 연구는 지방정부의 탄소중립 정책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기후 위기의 위험성, 행위주체별 역할, 생활실천, 탄소중립 정책, 정책성과 및 방향 등에 대한 충북도민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조사를 위해충북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남녀 1,124명 대상 중 결측값인 33명을 제외하고 총 1,091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후 위기 위험 인식 수준이 남성에 비해 여성이 높았다. 둘째, 탄소중립 행위 주체 간 역할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셋째, 주민들은 탄소중립 실천에 불편함을느꼈지만,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법과 규제가 강화되더라도 불편을 감수하겠다는 의견이 많았다. 넷째, 탄소중립에 관한 정보를 신문 기사, 뉴스 등을 통해 획득하며, 다섯째, 재활용품 구매 및 자원순환 소비를가장 선호하였다. 여섯째, 탄소중립 정책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기후 위기에 대한 정보 부족이며, 기후 위기 심각성 인식, 환경 교육, 사회적 시스템 지원, 인센티브 및 포인트 제공 미흡 등 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방정부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climate crisis risk, roles of actors, green living practices, carbon neutrality policies, and policy outcomes to set policy directions for achieving carbon neutrality to overcome the climate crisis. The main finding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risk perceptions between men and women regarding the likelihood of survival threats from the climate crisis. Secon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roles of different actors in carbon neutrality policy behavior. Third, respondents are currently uncomfortable with the idea of going carbon neutral, and policy effectiveness is low. Fourth, respondents are willing to accept the inconvenience of strengthening laws and regulations to realize carbon neutrality. Fifth, the most common way to learn about pro-neutrality policies is through mass media. Sixth, purchasing recycled products and recycling consumption were the most preferred actions. Seventh, the lack of information on the scope and timing of climate change impacts was the most serious problem with the carbon neutrality policy. The most preferred policies were: recognizing the seriousness of the climate crisi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supporting social systems, and providing incentives and points.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 설계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