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대동한문학 第76輯.jpg
KCI등재 학술저널

春庵 蘇凝天의 생애 및 학문 경향

A Study on the Life and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Chun-am So Eung-cheon

DOI : 10.21794/ddhm.2023.76.107
  • 56

본고는 蘇凝天 연구의 試論으로서, 소응천의 생애와 교유 관계, 학문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소응천은 그동안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향촌 지역의 선비이지만, 당대 삼남 지역에서 명성을 떨쳤으며 소론계 문인 및 영남의 문인과도 교유하였다. 소응천은 18세기 삼남 지방의 학문 동향을 살펴보는 데 있어 주목할 만한 인물이다. 소응천은 향촌의 寒士, 영남 문인, 소론계 문인들과 교유했는데, 그의 교유 관계에서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소론계 문인과의 교유이다. 소응천은 젊은 시절 제자백가와 불가, 도가, 천문, 지리에 이르기까지 여러 분야를 두루 섭렵하였다. 그러나 소응천은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에 소론계 문인들과 교유하면서 자신의 지난날 학문 방향이 잘못되었음을 깨닫고 유학에 전념하게 되었다. 소응천이 스승으로 섬겼던 윤동수와 윤동원은 윤선거·윤증으로부터 이어지는 파평 윤씨 가문의 학문 정립에 중추적인 역할을 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소응천이 잡학에 힘쓰고 고원한 담론을 추구하는 문제를 지적하여, 일상에서의 윤리 규범 실천에 힘쓰도록 소응천에게 당부했다. 즉 윤동원과 윤동수는 윤증으로부터 내려오는 務實의 학풍을 소응천에게도 전수한 것이다. 소응천은 이들과의 만남 이후 일상에서의 실천과 소학 공부를 중시하여, 벗과 후학에게도 이 점을 강조하였다. 소응천의 학문 경향을 통해, 조선 후기 호남 지역 학풍의 새로운 국면을 발견할 수 있다. 아울러 소응천과 파평 윤씨 가문의 교유를 통해, 윤증으로부터 이어지는 소론계 학문이 어떻게 전수되어 갔는지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d So Eung-cheon's life, associates, and academic characteristics. So Eung-cheon was a scholar in a rural area, unknown to academia, but he had a reputation in the Samnam area of the time and also interacted with Soron scholars and Yeongnam scholars. So Eung-cheon is a remarkable figure in examining academic trends in the Samnam region in the 18th century. So Eung-cheon was associated with unknown scholars, Yeongnam scholars, and Soron scholars in a countyside, and what is particularly noteworthy in his relationship with Soron scholars. When he was young, So Eung-cheon studied various fields, including all classes of philosophers, Buddhism, Taoism, astronomy, and geography. However, when So Eung-cheon interacted with Soron scholars in his late teens and early 20s, he realized that his past academic direction was wrong and devoted himself to Confucianism. Yoon Dong-soo and Yoon Dong-won, whom So Eung-cheon served as teachers,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the academic background of the Pa-pyeong Yoon family, which led from Yoon Jeung. They pointed out the problem of So Eung-cheon working on general studies and pursuing a high-altitude discourse, and asked So Eung-cheon to work on practicing ethical norms in everyday life. In other words, Yoon Dong-won and Yoon Dong-soo passed on the academic style of Mushil(實務) from Yoon Jeung to So Eung-cheon. After meeting them, So Eung- cheon emphasized this point to his friends and juniors, emphasizing practice and study of So-hak(小學) in everyday life. Through So Eungcheon's academic trend, a new phase of the academic style in Honam reg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can be found. In addition, through the friendship between the So Eungcheon and Pa-pyeong Yoon families, it is possible to confirm how the academic style of the Soron leading from Yun Jeung were passed down.

1. 머리말

2. 생애 및 교유 관계

3. 務實 지향의 학문 경향

4.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