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 후기 위구르 문인 偰遜의 東來와 문학 세계의 특징
The Settlement of the Uyghur Gochang-Seol Famil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Literary World of Seol Son
-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 동양한문학연구
- 第66輯
- 2023.10
- 69 - 116 (48 pages)
본고는 설손의 한반도 정착[東來] 과정과 그 속에서 편집된 문집 『『近思齋逸藁』에 대한 분석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東來 과정은 돌궐족의 후예로서 偰輦河 정착과 신장 위구르, 중원 강남으로 이주한 高昌偰氏 단계와 다시 중원에서 한반도로 이주한 慶州偰氏 단계로 나눠 살폈다. 編輯과 逸失을 반복했던 설손의 문집은 경주설씨 가문에서 편찬한 『慶州偰氏諸賢實記』에 『『近思齋逸藁』라는 이름으로 간행되어 현존한다. 본고는 총 119편의 작품을 대상으로, 주제와 표현 기법의 측면에서 분석했다. 그의 시에선 가문에 대한 자부심과 그로 인한 주변의 기대와 부담감, 가족과 형제들에게 대한 애정이 두드러진다. 이는 儒家 文士로서 세상 경영에 대한 포부와도 연결된다. 또한 북방 민족의 후예답게 힘차게 대지를 달리는 駿馬, 하늘로 솟구치는 새매의 이미지가 道家的 상상력과 함께 작품 곳곳에 스며 있었다. 한편 그는 다양한 共感覺的 표현과 色彩 대비, 疊語와 對偶法의 능숙한 사용과 흥미로운 韻字의 활용 등을 통해 감각적 세련미가 넘치는 시를 만들어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Seol Son's settl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and 『Geunsajaeilgo(近思齋逸藁)』, the collection of writings edited in such experience. The process of his moving east was first settled in the Serenge River(偰輦河) as a descendant of the Turkic people, followed by the Gochang(高昌) Seol Family, which moved to Xinjiang Uyghur and Gangnam, the central region. In addition, it was divided into the stages of Gyeongju(慶州) Seol Family, which moved from the the Central region to the Korean Peninsula. His collection of writings, which repeatedly edited and lost, was published under the name of 『Geunsajaeilgo』 in the 『Gyeongju Seol Family jehyunsilgi(偰氏諸賢實記)』 compiled by the family. This paper analyzed a total of 119 works in terms of themes and expression techniques. In his poetry, the pride of the family, the expectation and burdens of the surrounding people, and the love for family and brothers are very prominent. This is also related to his ambition for world management as a Confucian scholar. Moreover, as a descendants of northern people, the images of a horse running vigorously on the earth, a sparrow hawk soaring into the sky were permeated every corner of the work with Taoist imagination. Meanwhile, he created a poem full of sensuous sophistication through various synesthetic expressions, color contrast, proficient use of reduplication and antithesis , interesting rhymes.
1. 序論
2. 偰遜의 東來와 『近思齋逸藁』
3. 偰遜 詩의 다양한 주제
4. 偰遜 詩의 세련된 감각
5. 結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