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론은 우리가 어디로부터 왔고 우리가 누구이며 어디로 가는지를 설명해주는 전체적 맥락의 역할을 한다. 인간은 이 우주론 안에서 삶의 의미와 목적을 발견해왔다. 토마스 베리는 오늘날의 우주론이 단편적인 측면에 머물면서 우리에게 의미 있는 삶의 맥락을 제공해주지 못하고 있다고 진단한다. 또한 적절한 우주론의 부재가 결국 생태 위기라는 현실로 드러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베리는 우주의 물리적 측면에만 집중하는 과학적 우주론이 아니라, 궁극적이고 본질적인 측면까지 헤아리는 통합적 우주론을 제시한다. 베리의 우주론적 통찰력은 창발하는 우주에 대해 과학과 신학의 통합적 접근을 했던 떼이야르 드 샤르뎅의 영향을 받았다. 떼이야르의 전망을 따라 베리는 우주를 고정되고 완성된 장소가 아니라 역사 속에서 끊임없이 생성되고 발전하는 실재로 파악한다. 또한 창발하는 우주는 처음 시작부터 물질적-물리적 측면과 함께 정신적-영적 차원을 가지고 복잡성과 통일성을 향해 진화해왔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전망을 바탕으로 베리는 과학적 우주론과 종교적 우주론을 통합한 새로운 우주론을 역사적 이야기의 형태로 제안한다. 베리의 통합 우주론적 사상이 드러나는 우주 이야기에는 과학 이야기, 역사 이야기, 종교 이야기 등이 통합적으로 어우러져 있다. 베리는 이 총체적 이야기를 통해 우리가 신적 현존으로 빛나는 세상의 경이로움을 재발견하고 이 세상 속에 스며 있는 거룩한 신비와 가까워지기를 바란다. 또한 거시적 입장에서 인간이 어디에 속해 있는지를 바라보게 함으로써 인간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모색하도록 유도한다. 이처럼 베리는 과학적 정보에 기초하여 윤리적이고 종교적 차원까지 포괄하는 우주론을 제시함으로써 인간과 지구 공동체의 친밀한 관계를 회복하고 이 세계 속에서 인간의 위치와 역할을 성찰하는데 기여한다.
Cosmology provides a whole context which explains where we come from, who we are and where we are going. Human beings have found meaning and purpose of their life in cosmology. Thomas Berry points out that current cosmology stays on the partial side and fails to offer us a meaningful context for our lives. He also argues that the absence of an appropriate cosmology has become causes of the ecological crisis. Therefore, Berry proposes an integral cosmology that considers the ultimate and essential aspects of the universe, rather than a scientific cosmology which merely focuses on the physical aspects of the universe. Berry’s cosmological insight was influenced by Teilhard de Chardin, who took an integrated approach of science and theology to the cosmogenesis. Following Teilhard’s perspective, Berry sees the universe as a reality that is constantly created and developed in history, not a fixed and completed place. Furthermore, he insists that the universe has had both physical-material and psychic-spiritual dimensions from its very beginning and has evolved toward increasing complexity and unity. Based on this prospect, Berry proposes a new cosmology that combines scientific and religious cosmology in the form of a historical story. In the universe story that reveals Berry’s integral cosmology, science story, historical story, and religious story are deeply integrated. Through this comprehensive story, Berry hopes that we rediscover wonders of the world shining with the divine presence and come closer to the sacred mystery permeating this world. In addition, he leads to a new understanding of human identity by looking at where human beings belong from a macroscopic point of view. To sum up, Berry presents a cosmology that encompasses ethical and religious dimensions based on scientific study; the integral cosmology contributes to restoring the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humanity and the earth community and to reflect on human’s role in this world.
들어가는 말
Ⅰ. 토마스 베리와 우주론
Ⅱ. 토마스 베리 우주론의 통합적 비전
Ⅲ. 토마스 베리 우주론의 특징
나가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