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소셜미디어 채널에 게시된 관광 홍보 영상의 시청이 시청자에게 어떠한 감정 반응을 낳는지를 실증적으로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인지심리적 측정 방법(SAM)과 생리심리적 측정 방법(심박변이도)을함께 활용하여 참여자의 기초 감정 반응(쾌락, 각성)을 수집하였다. 실험 참여자는 72명의 한국 대학생들이었으며, 세 집단으로 나뉘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통제 집단은 관광 홍보 영상이 아닌 기저영상을 시청하였으며(통제군), 실험 집단은 동적인관광 활동이 묘사된 관광 홍보 영상을 시청하거나(실험군 1) 정적인 관광 활동이 묘사된 관광 홍보 영상을 시청하였다(실험군 2). SAM의 분석 결과, 실험군 1에서 실험군 2보다 높은 각성 반응이 나타났으며, 두 실험 집단 간 쾌락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생리심리적 차원의 경우 관광 홍보 영상의 시청은 내용에 관련 없이 심박변이도의주요 지표인 LF, HF, SDNN, RMSSD가 모두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긍정적 감정 반응의 발생을 암시한다. 연구결과는 온라인 관광 홍보 맥락에서 쾌락의 역할과 관련하여 흥미로운 논의점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관광 홍보의 시청시 각성 반응은 콘텐츠에 따라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쾌락 반응은 비교적 일관적으로 높았다. 즉 홍보 영상 시청은 콘텐츠유형에 상관없이 즐거운 쾌락감정을 유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쾌락이 시청자와 미디어 제작자의 정서적 토대가되어 효율적이고 상호 만족하는 관광 홍보 커뮤니케이션을 촉진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 이 연구는 감정 반응의 다면적인특성을 조명하고 관광 홍보 분야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돕는다. 또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면서도 이용자의 즐거운 감정을 유발 및 지속시키는 것이 주요 과제인 온라인 마케팅 현장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empirical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viewing tourism promotional videos on social media channels on viewers’ emotional responses. A combination of cognitive- and physio-psychological measures (i.e., SAM and HRV) was applied to assess participants' basic emotional responses (i.e., pleasure and arousal). Participants consisted of 72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control group watched the baseline video (Control), while two experimental groups viewed videos featuring ether dynamic (Group 1) or static tourism activities (Group 2).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arousal level of Group 1 was higher than that of Group 2, whil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degree of pleasure between the two groups. Additionally, LF, HF, SDNN, and RMSSD increased as participants watched tourism promotional videos, regardless of their content. These results, which highlight consistent and heightened pleasure-related responses despite variations in arousal, provide intriguing insights into the role of pleasure in tourism promotions. Pleasure may serve as an emotional common ground, fostering effective and mutually satisfactory communication between viewers and producers in the realm of social media and online tourism promo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emotion-based tourism phenomenon and offers valuabl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media and online marketing strategies.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종합논의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