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크래프트를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
An effect of a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program through Minecraft on the creative person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23권 20호
-
2023.10421 - 436 (16 pages)
-
DOI : 10.22251/jlcci.2023.23.20.421
- 239

목적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에게 적합한 마인크래프트 에듀케이션 활동을 통하여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프로그램이 창의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마인크래프트에듀케이션 활동을 적용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프로그램을 투입한 후 초등학교 5학년, 6학년, 중학교 1학년 84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성향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사전 사후 대응 표본 t 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ADDIE 모형의 절차에 의해 마인크래프트 에듀케이션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5~6학년,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마인크래프트를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프로그램을 수업하였다. 셋째, 마인크래프트 에듀케이션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창의적 성향 하위 영역 중 호기심, 과제집착, 독립성, 위험감수, 심미성에서 향상을 보였다. 결론 마인크래프트를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창의적 성향의 하위요소인 호기심, 과제집착, 심미성에 효과가 있었다.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programs on creative propensity were ana-lyzed through Minecraft education activities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To this end, a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program applied with Minecraft education activities was put in, and creative personality was measured for 84 5th and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1st grade in middle school,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pre-post response sample t-verification. Result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we developed a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program using Minecraft education using the procedures of the ADDIE model. Second,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1st grade of junior high school were taught a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program through Minecraft. Third, through a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program using Minecraft Education, students showed improvements in curiosity, task obsession, independence, risk-taking, and aesthetics among the stu-dents' creative orientation subdomains. Conclusions By using a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program through Minecraft, it was effective for the sub-elements of creative tendencies, such as curiosity, task obsession, and aesthetic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