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중세 시대 수치심이란 무엇이며, 수치심은 어디에서 유발되며, 수치심을 유발한 당사자는 물론 당사자가 소속된 공동체는 이를 만회하기 위해 어떤 행동을 하게 되는가?『가웨인 경과 녹색 기사』(Sir Gawain and the Green Knight)는 이러한 질문에 대답하고 있다. 특히 아서왕(Arthur)과 기사도 공동체에서 ‘수치심의 문화’는 기사 계급의 행동과 동기를 이해하고 판단하는데 필수적인 잣대이다. 작품 속 아서왕과 기사들 모두 명예를 남성 공동체가 최고의 가치로 삼고 있으며 이를 생명보다 소중하게 여긴다. 개인적 차원을 넘어 공동체의 명예와 수치심은 기사로서 가웨인의 행동에 동기를 부여하고 그의 행동을 이상적인 방향으로 이끌어가는 역할을 한다. 또한 ‘수치심의 문화’를 토대로 한 행동 윤리와 가치에서 벗어난 가웨인의 행동과 태도에 대하여 시인은 ‘기사도 로맨스’(chivalric romance)에서는 볼 수 없는 그리스도교의 죄와 용서의 구도로 가웨인이 수치심에서 벗어날 수 있는 출구를 제시한다.
Sir Gawain and the Green Knight is a valuable work for the study of honor and shame in late-medieval English literature. In addition to the social codes influenced by pre-Christian “shame culture”, the “guilt culture” deeply embedded in the work is also crucial to the understanding of the Gawain poet’s intention as well as Sir Gawain’s behavioral modes. The shame culture is the performative public honor, which exerts the strongest influence upon Sir Gawain for the first half of the poem. After his departure from the Arthurian court, Sir Gawain’s actions are circumscribed by both guilt and shame ideologies. Gawain’s ending creates the shift from upholding the chivalric ideals of a romance hero based upon shame culture to a guilt culture whose emphasis lies on Sir Gawain’s interior thoughts and personal moralities closely linked with the Christian doctrines. The move from shame culture to guilt culture results from the Gawain poet’s realistic vision toward the chivalry of the late medieval age and his awareness of the social changes such as the advent of individualism, and the need for personal confession.
Ⅰ. ‘수치심의 문화’와 가웨인의 대중적 정체성
Ⅱ. “대중적 정체성”과 죽음 사이 딜레마
Ⅲ. 죄의식과 용서를 통한 현실과의 타협
Ⅳ. 결론: 개인주의와 현실 속 죽음의 공포
인용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