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 물질, 기계의 생애 주기의 가장 끝 단계에서 더 이상 사용하지 못하거나 사용할 수 없는 것을 우리는 쓰레기라고 부른다. 쓰레기는 우리가 눈 앞에 펼쳐지는 기술을 진보로 묘사하며 경험하고 탐구하는 동안 대체로 관심 밖의 존재였다. 하지만 무엇을 쓰레기로 분류할 것이며, 이 쓰레기를 어디에 배치할 것인지, 누가 이 쓰레기를 옮길 것인가의 문제는 역사적으로 사회적인 맥락과 동시대의 권력이 개입하여 왔다. 이 같은 맥락에서 이 글은 기술발전의 필연적 부산물로써 발생하는 쓰레기를 '기술-쓰레기'로 규정하고 한국 사회 안에서 기술 쓰레기가 구성된 계보를 탐구한다. 1987년부터 2023년까지 '쓰레기'를 핵심어로 검색한 KBS 뉴스보도와 같은 시기 환경부 디지털 도서관의 정책보고서에 나타난 담론을 중심으로 한국에서 기술-쓰레기가 어떻게 규정되고 관리되어 왔는지를 기술-쓰레기의 출현, 기술-쓰레기의 권위적인 배치, 유비쿼터스 기술-쓰레기로 범주화하여 서술한다. 이를 통해 인간, 기술, 환경을 보이지 않게 매개하고 있는 기술-쓰레기에 대해 깊이 있게 이해하고, 인간, 기술, 환경의 유기적인 관계에 대해 보다 비판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At the most final stage of the life cycle of a product, when it can no longer be used or is unusable, we call it “waste”. Waste has largely been a matter of indifference, while we describe and experience the technology as progress. However, the question of what to classify as waste, where to dispose of this waste, and who will move this waste has historically involved social context and contemporary power. This article defines waste generated as an inevitable byproduct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s “tech-waste” and explores the genealogical composition of tech-waste within Korean society. This paper describes how technological waste has been defined and managed in Korea, focusing on the discourse found in KBS news reports searched for using “waste” as a keyword from 1987 to 2023 and policy reports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s digital library during the same period. It categorizes technological waste into the emergence of technological waste, its authoritative (re)placement, and ubiquitous technological waste. Through this process, this paper aims to allow a critical understanding of tech-waste, which invisible mediates human-technology-environment, and reflect on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m.
1. 들어가며
2. ‘기술-쓰레기’의 출현
3. ‘기술-쓰레기’의 권위적 배치
4. 유비쿼터스 ‘기술-쓰레기’
5. 나가며: 기술, 쓰레기, 그리고 지구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