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호서고고학 56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금강 중류 선사~고대 지역사회의 문화경관 변화

Changes in the cultural landscape of prehistoric and ancient communities in the middle region of the Geumgang River

DOI : 10.34268/hskk.2023.56.53
  • 278

세종시 일원에서 조사된 청동기시대~삼국시대 유적들은 전역적인 분포 양상을 보인다. 이들 유적의 분포패턴 분석을 통해 각 시대별 문화경관의 구조적 특징과 그 변화상을 살펴보았다. 청동기시대 가락동유형 단계에는 대규모 취락과 주변취락이 하나의국지적 공동체를 구성하며 상호 연계된 경관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이것은 가시경관을 공유하는 취락 간의 시인관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송원리유적에서 볼 수 있는 단위취락의 경관은 주거지, 생업경제활동 공간이 구조화되어 개인과 집단의 결속, 정체성을 형성하는 의미화된장소로 작용하고 있었다. 송국리유형 단계에는 이전 시기에 비해 취락 규모가 축소되고, 점유공간도 한정적이었다. 이 시기에는 당암리 일대에 중·소규모 취락이 밀집하여 공동체를 이루고 있었으며, 소규모 취락들은 전역적 분포패턴을 보인다. 취락 내부 경관은 농경지가 집단 노동과 경험을 공유하는 주요 경관을 구성하며 공동체의 결속 강화와 사회 유지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던것으로 보인다. 원삼국시대에는 취락이 평지에 입지하고, 대규모 취락인 대평리를 정점으로 다양한 기능 공간들이 상호작용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이것은 최상위 취락을 중심으로 반경 10km 내에 기능 공간들이 조직적으로연계된 유통망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백제 시기의 경관은 나성리유적으로 대표된다. 이 시기는 백제 중앙권력의 영향력 확대와 수취 체제의 확보 전략에 따라 나성리라는 새로운거점을 중심으로 경관 구조가 재편된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나성리를정점으로 하위의 경제적 거점들이 수지형으로 구조화된 형태였다. 나성리유적 외곽에는 지배층의 묘역이 생활 공간과 분리되어 특별한 장소에마련되어 있었고, 묘역에 대한 시선을 통제하여 정치권력의 존재를 극대화한 권력화된 경관을 구성하고 있었다.

The changes in the cultural landscape were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archaeological sites from the Bronze Age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Sejong-city. During the Garak-dong type stage of the Bronze Age, large-scale settlements and surrounding settlements formed a local community and formed an interconnected landscape structure. This could be confirmed through a visual relationship in which settlements share visible landscape and interact. On the other hand, the landscape of the unit settlement served as a meaningful place where residential areas, tombs, and living economic activity spaces were structured to form solidarity and identity between individuals and groups. In the Songguk-ri type stage, the size of the settlements was reduced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and the space occupied was limited. During this period, small and medium-sized settlements were concentrated in the Dangam-ri area to form a community, and small settlements showed a global distribution pattern. The landscape inside the settlements was inferred through a cultural landscape composed of multiple settlements. Here, the pottery farmland acts as a major landscape for sharing collective labor and experience, and it seems that it has the meaning of strengthening the solidarity of members and maintaining society.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 Period, settlements were located on flatland, and various functional spaces were formed to interact with the large-scale settlement of Daepyeong-ri. This was based on a distribution network in which functional spaces were systematically linked within a radius of 10km around the top settlement. The landscape of the Baekje period is represented by the site of Naseong-ri. During this period, it can be seen that the landscape structure was reorganized around a new base called Naseong-ri in accordance with the strategy of expanding the influence of the central power of Baekje and securing the receiving system. This was a form in which the lower economic hubs were structured in a resin type with Naseong-ri at the peak. On the outskirts of the Naseong-ri ruins, the tomb of the ruling class was set up in a special place separated from the living space, and the view of the tomb was controlled to form a powerful landscape that maximized the existence of political power.

Ⅰ. 머리말

Ⅱ. 통시적 관점에서 본 공간점유 양상의 변화

Ⅲ. 청동기시대의 경관 구조

Ⅳ. 원삼국시대~삼국시대의 경관 구조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