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의료사회사연구 제12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보건학자 주인호의 감염병 매개 곤충 연구와 미군의 지원, 1945-1969

이 논문은 1950-60년대 보건학자 주인호의 감염병 매개 곤충 연구를 다룬다. 주인호는 미군정청의 지원으로 미국 미시간 대학에서 보건학을 공부한 후 한국에서 보건 관료 및 학자로 활동하며 한국 공중보건의 미국화를 주도한 인물이다. 그는 한국전쟁기에 미군 출혈열연구소에서 근무하며 의용곤충학자로서 성장했고, 이후에는 그때의 경험을 토대로 한국의 모기와 그것이 매개하는 질병에 대해 많은 연구를 수행했다. 특히 그는 1958년부터 1960년까지 약 2년간 대만 미해군의학연구소의 방문 연구원으로서 미군 의학자들과 교류하며 대만과 일본에 서식하는 모기의 생태를 연구했고, 그 연구를 활용하여 한국의 모기 매개성 질병에 대한 방역 지침을 도출했다. 이 같은 주인호의 연구 경력은 냉전 시기 한국의학자와 미군의 교류가 한국 현대의학의 형성에 끼친 영향을 잘 보여주는 한 사례이다. 이 논문은 주인호와 미군 사이의 교류, 특히 주인호가 미군의 지적, 기술적, 물질적 자원을 어떻게 받아들였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주인호의 감염병 매개 곤충 연구 과정을 추적함으로써, 미군의 지원이 한국 의학에 미친 영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This paper delves into the body of works produced by Inho Chu, a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er, between the late 1940s and the 1960s,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impact of the United States military on his research. Chu emerged as a central figure in the process often referred to as “Americanization” of Korean public health in the aftermath of World War II. His professional development as a public health expert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continuous support from the U.S. military. Chu pursued his education in public health at the University of Michigan under the auspices of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USAMGIK). Additionally, he received specialized training in medical entomology at the U.S. Army's Hemorrhagic Fever Center during the Korean War. Subsequent to the war, he departed for the U.S. Naval Medical Research Unit 2 in Taiwan (NAMRU-2) to join the transnational network of tropical medicine. Through a detailed exploration of Chu's academic journey, this paper aims to analyze how Chu effectively adapted the intellectual, material, and technological resources provided by the U.S. military to Korean medical circumstances and the historical legacies of colonialism. The results of such analyses illuminate the intricate interplay between the U.S. military support and the Korean context of the Cold War, which had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field of public health in South Korea.

1. 들어가며

2. 보건학자로서 주인호의 성장과 미군정청의 지원

3. 한국전쟁기 미군 출혈열 연구소에서의

수련과 감염병 매개곤충 연구의 시작

4. 대만 미해군의학연구소에서의 모기 연구

5. 나가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