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의료사회사연구 제12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려시대 요(遼)·송(宋)·금(金)·원(元)과의 의료 교류

Medical Exchanges Between Koryo and Liao, Song, Jin, and Yuan During the Koryo Dynasty: A Review of the ‘History of Chinese Medicine’ Perspective

DOI : 10.32365/KASHM.2023.12.5

기존의 가장 일반적인 연구시각에서는 한국 전근대 의료사를 한의학의 역사[漢醫學史]로 설명해왔다. ‘중국의학’ 중심인 한의학사의 관점에서 고려시대 의료에 접근하면, 중국을 중심부로 인식하고 한국을 그 주변부에 배치하게 된다. 이러한 중심-주변부론의 시각에서는 중국에서 발원한 ‘한의학(漢醫學)’이 고려에 대해 항상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그 영향력의 범위와 방향은전면적인데다 일방적이었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고려와 요(遼)·송(宋)·금(金)·원(元) 사이의 약물, 의료인, 의학지식 교류를 구체적으로추적하였다. ‘한의학사’ 관점이 고려시대의 역사적인 사실과 부합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해서이다. 기록을 토대로 요약하자면, 중국대륙 여러 나라와 고려사이의 의료 교류는 항상적이지는 않고 단속적으로 진행되었다. 그리고 상대국의 의료는 전면적이라기보다는 각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용되었다. 아울러 그 교류의 흐름은 일방향이 아니라 쌍방향으로 전개되었다.즉 고려를 비롯한 동아시아의 여러 나라는 모두가 서로영향을 주고받는 행위체였다. ‘중국’이라는 가상의 정치체가 항상 ‘중심부’에 자리잡은 채 인접국들을 ‘주변부’ 에 위치시키면서 ‘한의학’을 영구적으로 공급하는 구조는 아니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한의학’ 혹은 ‘중의학’ 개념은 이론적인 정합성도 갖추지 못한 데다, 전근대 의료 교류의 양상이나각국의 의료체계를 모두 설명하기에는 미흡하다. 동아시아의 전통 의학을 충분히 설명하기 위해서는 ‘한의학’ 개념을 뛰어넘는 새로운 개념과 논리 구조가 필요하다.

In the most common research perspective, Korean pre-modern medical history has been explained as the ‘history of Chinese medicine’. If we approach medical care during the Koryo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Chinese medicine’, we can see that China was in the center and Korea was in the periphery. From this perspective of the center-periphery theory, it has been argued that ‘Chinese medicine’, which originated in China, always had an influence on the Koryo Dynasty, and that the scope and direction of its influence were comprehensive and one-sided. Therefore, this article specifically traced the exchange of medicinal materials, medical personnel, and medical knowledge between Koryo and Liao, Song, Jin, and Yuan. It was to confirm whether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Chinese medicine’ corresponds to the historical facts during the Koryo Dynasty. The available records show that the medical exchanges between Koryo and various Chinese countries were intermittent, not consistent. Moreover, the medical care method of one country was accepted selectively according to the needs of each country rather than as a whole. In addition, the flow of exchange developed in both directions, not in one direction. In other words, many countries in East Asia, including Koryo, were actors whose influences reached each other. It was not a structure in which the hypothetical political body called ‘China’ was always located in the ‘center’ and permanently supplied ‘Chinese medicine’ to Koryo while placing neighboring country in the ‘periphery.’ Therefore, the concept of ‘Chinese medicine’ does not have theoretical consistency, and it is insufficient to explain both the reality of pre-modern medical exchanges and the medical system of each country in East Asia. In order to fully explain the traditional medicine of East Asia, a new concept and a logical structure that go beyond the concept of ‘Chinese medicine’ are needed.

1. 머리말

2. 요(遼)·금(金)과의 소원한 의료 교류

3. 송(宋)과의 선별된 의료 교류

4. 원(元)과의 긴밀한 의료 교류

5.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