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혜여원(廣惠女院)은 감리회의 평양선교 진출 과정에서 독자적인 여성의료사업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894년의 첫 시도는 실패하였지만, 1898년 재시도 끝에 로제타 셔우드 홀에 의해 병원이 개원될 수 있었다. 이 병원은 여병원(女病院)으로 불리며, 감리회의 기홀병원과 함께 남녀유별의 조선 상황에 대처하는 진료 협력체제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여성과 소아진료, 특히 빈곤층과 장애인들의 진료에 힘을 기울여 구휼 내지는 사회복지기관으로서의 성격을 뚜렷이 하였다. 그러나 바로 이러한 점 때문에, 1910년 이전까지 광혜여원은 WFMS 의 전적인 지원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WFMS는 광혜여원에 대해 병원운영에 필요한 인력과 인건비, 약품, 설비, 수리, 연료, 보험비용에 이르기까지 제반 비용을 지원하였다. 그 외에도 건물 증축이나 개축에도 큰 규모의 지원이 이루어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1910년대에 이르러, 식민의료기관인 자혜의원(慈 惠醫院)의 설립 및 확장과 그로 인한 경쟁적 관계에 의해 광혜여원은 변화를 모색할 필요가 있었다. 특히 1910년대 여성들의 남녀유별 인식이 약화되면서 자혜의원이나기홀병원의 이용도가 높아지는 것, 미국 선교회의 재정악화로 자립의 요구가 커지는 것도 중요한 변화요인이었다. 이 과정에서 광혜여원은 1914년을 전후한 시기에 폐지논의에 휩싸이기도 하였으나, 이를 극복한 후에는 자립도를 높이기 위한 다각도의 방안을 모색하기 시작하였다. 이를 위해 시설의 보강, 인력 자립을 위한 의학교육지원, 재정의 자립을 위한 유료화 등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평양의 자혜의원, 기홀병원과 진료를 분담하며 산부인과 중심 병원으로 전환되어 나갔다. 그러나 1923년 광혜여원은 감리회의 기홀병원, 장로교의 캐롤라인 기념병원과 연합되고 만다. 이는 적극적으로 확장해가는 관립병원에 대하여 조선의 선교회들이 대응하는 차원에서 거대하고 강력한 기독병원을 설립하려는 의지를 보이며 이루어낸 결과였다. 그 과정에서 광혜여원은 연합기독병원의여성과(woman’s unit)가 되었고, 이는 한성에서 동대문부인이 굳건하게 존속했던 것과는 다른 결과였다. 하지만 연합이 오히려 여성의료의 확대를 가져오면서, 결과적으로는 여성병원으로서의 광혜여원에게 최선의 선택이 되었다. 이제 여성병원의 존재이유와 방식은 새롭게 모색되어야 할 필요가 있게 된 것이다.
KoangHyoeNyoWon (廣惠女院, Women's Hospital of Extended Grace) was opened in Pyengyang in 1898. I looked into the process of the dispensary's establishment, and some of its medical service activities, its personnel and financial operations, and the history of the changes KoangHyoeNyoWon had undergone. KoangHyoeNyoWon was established in Pyengyang by the WFMS (Woman’s Foreign Missionary Society) to provide medical services for women as an independent medical enterprise. The first attempt to open a women’s clinic failed in 1894, but in 1898, KoangHyoeNyoWon began operations. It built a system of medical services in cooperation with Giholbyeowon (the Hall Memorial Hospital), which was another clinic established by the Methodist Church. In addition, it tried to extend the medical services not only to women and children, but also to the poor and the disabled; therefore, it had the characteristics of a social welfare center. These facts led KoangHyoeNyoWon to rely on the support of the WFMS. The WFMS had provided KoangHyoeNyoWon with manpower, personnel expenses, medicine, medical facilities, and fees for maintenance, fuel, insurance, etc. In addition, the WFMS had covered the cost of rebuilding and reequipping the dispensary. But Jahye Clinic, a colonial medical center, opened in 1910 and competed with KoangHyoeNyoWon, which explains why the dispensary for women had to make changes. By the 1910s, gender discrimination in Joseon had lessened and women were more likely to use hospitals such as Jahye Clinic and Giholbyeowon; at the same time, demands for KoangHyoeNyoWon to become financially independent increased as the financial situation of the WFMS deteriorated. By 1914, there was talk of closing KoangHyoeNyoWon. However, it began to seek solutions to overcome the crisis and to gain financial independence. Several attempts were made to improve medical facilities, support medical education to supply independent manpower, and diversify medical services. Gradually, KoangHyoeNyoWon became a maternity clinic and offered medical care in conjunction with other clinics. In the 1920s, KoangHyoeNyoWon was merged with other hospitals—Giholbyeowon (Methodist Church) and Caroline Memorial Hospital (Presbyterian Church). It resulted from the willingness of the missionary society in Joseon to build a large and strong Christian hospital in order to compete with the colonial and national hospitals that wereexpanding aggressively. As a result, KoangHyoeNyoWon became the women’s ward of the United Christian Hospital. Through the merger, women were able to receive better and more comprehensive medical services, making KoangHyoeNyoWon the best choice for women in need. Now it was time for the question of why and how there should be a women’s clinic.
1. 서론
2. 평양 여성병원, 광혜여원의 설립
3. 광혜여원의 초기 활동과 WFMS(여성해외선교회)의 지원: 1898년~1909년
4. 광혜여원의 자립 모색과 인력·재정운영: 1910년~1922년
5. 평양연합기독병원으로의 통합
6.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