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부 후·전방향 검사 시 보조관심영역의 변화가 노출지수와 입사표면선량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to the Exposure Index and Entrance Surface Dose according to the Sub-ROI in Chest PARadiography
- 한국방사선학회
-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제17권 제5호
-
2023.10685 - 691 (7 pages)
-
DOI : 10.7742/jksr.2023.17.5.685
- 16

본 연구는 흉부 후·전방향 검사 시 보조관심영역의 변화가 노출지수와 선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통해, 임상에서 적절한 보조관심영역 적용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흉부 모형 팬텀을 대상으로 하였고, 조사조건은 120 kVp, 200 mA, 2 mAs로 설정하였으며, 조사야 크기는 영상수용체 전체를 포함하는 크기(17 X 17”)를 적용했다. Sub-ROI는 장비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다섯 가지 방식(AEC, VR, HR, LS, SS)를 이용하였다. Sub-ROI 변화에 따른 EI의 평균값은 AEC의 경우 135.58 ± 0.89, VR은 100.80 ± 0.80, HR은 143.43 ± 0.76, LS는 103.22 ± 0.68, SS는 102.79 ± 0.84로 나타났으며, ESD의 평균값은 AEC의 경우 30.28 ± 0.50 µGy, VR은 30.16 ± 0.44 µGy, HR은 30.30 ± 0.46 µGy, LS는 30.23 ± 0.46 µGy, SS는 30.28 ± 0.51 µGy으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 EI는 제조사에서 권고하는 AEC 모드를 기준으로 VR (25.7%)과 LS (23.9%), SS (24.2%)모드는 감소하였으며, HR 모드는 5.7% 증가하였다. 하지만, ESD는 Sub-ROI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므로 임상에서 Chest PA 검사 시 Sub-ROI에 따라서 EI가 변경될 수 있으니, 임상에서는 이점을 유의하여 검사조건 설정 시 Sub-ROI를 적절하게 사용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raise awareness of the exposure index according to the Sub-ROI in clinical use by studying the effect of Sub-ROI’s change on exposure index and dose during Chest PA examination.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changes in EI and ESD according to the Sub-ROI setting, the irradiation conditions were set to 120 kVp, 200 mA, 2 mAs, and the SID was fixed to 180cm. Five types of Sub-ROI were used. The average value of EI according to the Sub-ROI’s change was 135.58 ± 0.89 in AEC, 100.80 ± 0.80 in VR, 143.43 ± 0.76 in HR, 103.22 ± 0.68 in LS, and 102.79 ± 0.84 in SS. The mean value of ESD was 30.28±0.50 µGy in AEC, 30.16 ± 0.44 µGy in VR, 30.30 ± 0.46 µGy in HR, 30.23 ± 0.46 µGy in LS, and 30.28 ± 0.51 µGy in SS. As a result of this study, based on the AEC mode recommended by the manufacturer, the VR (25.7%), LS (23.9%), and SS (24.2%) modes decreased, and the HR mode increased by 5.7%. However, ESD was not affected by the Sub-ROI’s change. Therefore, Sub-ROI may change EI during the Chest PA examination, it is considered that Sub-ROI should be used appropriately when setting protocols in clinical use.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 AND METHODS
Ⅲ. RESULT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