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자원환경지질 56권 5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마리아나 해구에 인접한 서태평양 심해평원의 정점 WP21GPC04에서 수집된 해양 퇴적물의 깊이에 따른 원소 및 광물 분포 변화

본 연구에서는 2021년 WP21 탐사를 통해 수집한 마리아나 해구 주변 해양퇴적물(WP21GPC04)에 대한 깊이 별 원소 분포 및 광물 구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이크로 X선 형광법(μ-XRF)을 통해 분석된 WP21GPC04 해양 퇴적물의 평균 화학조성은 깊이에 따른 특징적인 변화 없이 평균 SiO2 53.91 wt%, FeO 4.48 wt%, Al2O3 16.56 wt%, MgO 2.56 wt%, CaO 4.79 wt%, Na2O 3.52 wt%, K2O 5.48 wt%를 보이며, 이를 Mariana pelagic clay와 평균 해양 퇴적물의 원소 분포인 GLOSS (global subducting sediment)의 성분과 비교하였다. 방사광 X선 회절법(Synchrotron-XRD)을 이용하여 분석된 광물 구성은 깊이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석영, 운모, 사장석은 모든 깊이에서 확인된 반면 녹니석은 상대적으로 얕은 깊이에서만 확인되었고, 제올라이트 계열인 필립사이트와 휼란다이트는 퇴적 깊이에 따라 점진적인 함량의 변화를 보였다. 이는 해양 퇴적물의 퇴적 시기에 따른 환경에 변화가 있었거나 유사한 상 안정성에 의한 공생관계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서태평양 마리아나 해구 주변의 퇴적 환경 변화와 섭입하는 해양 퇴적물의 상 분포 및 거동에 따른 섭입대 특성 연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reports depth-dependent elemental distribution and mineral abundance of the oceanic sediment sample (WP21GPC04) near the Mariana Trench collected during the WP21 expedition in 2021. The elemental distribution determined by μ-XRF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varying depth, with an average SiO2 53.91 wt%, FeO 4.48 wt%, Al2O3 16.56 wt%, MgO 2.56 wt%, CaO 4.79 wt%, Na2O 3.52 wt%, K2O 5.48 wt%, similar to the average chemical composition of global subducting sediments (GLOSS). The mineral abundances analyzed using synchrotron XRD, however, vary with depth. While quartz, mica, and plagioclase were identified at all depths, chlorite was found at shallow depths, and zeolite group minerals, phillipsite and heulandite, showed a gradual change in phase fraction with depth. This suggests a change in sedimentation and alteration environments in the region, or the potential for coexistence emerges due to similar sediment stability. Overall, this study will provide a basis for the future investigations on the evolution of sedimentary environment near the Mariana Trench in the western Pacific Ocean and the phase distribution and the behavior of subducting oceanic sediments, which will affect the lithological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riana susduction system.

1. 서 론

2. 연구 방법

3. 결과 및 토의

4. 결 론

사 사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