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이슬람학회논총 제33권 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The 2017 Kurdish Independence Referendum and Political Disarray in the Kurdish Region of Iraq

이라크 내의 쿠르드지방정부(KRG)는 헌법에 근거한 자치 정부기관으로 2003년 후 이라크에서 최근까지 비교적 성공적으로 역할을 이어왔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이라크 내 쿠르드 지역은 부족 내부의 분열과 정치적 교착상태를 겪고 있며 연구자들은 최근의 혼란 상황의 대한 인과관계를 적절하게 밝히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은 사례연구이며 임계점의 개념을 이용하여 지금의 이라크 내 쿠르드 지역의 정치적 혼란에 대한 2017년 쿠르드 자치구독립 국민투표의 역할을 설명하고자 한다. 즉, 국민투표 실시의 선택과 국민투표의 결과 및 그 후의 사태에 대한 정치적 지도자들의 반응이 오늘날 이라크 내 쿠르드 지역을 둘러싸고 있는 정치적 고착화 상황을 만든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런 주장을 통해 이 논문은 소이퍼의 임계점의 효용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현상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라크 내 쿠르드 지역의 정치적 혼란에 대한 인과관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Kurdish Regional Government in Iraq is a constitutionally recognized autonomous governing entity, and until recently, a relative success story in post-2003 Iraq. In recent years, the Kurdish Region of Iraq has plunged into intra-Kurdish disunity and political stalemate, and researchers have not adequately demonstrated causality of the current disarray. This paper is a case study and utilizes the concept of critical junctures to illustrate the role of the 2017 Kurdish independence referendum in the current political turmoil in the Kurdish Region of Iraq. It argues that the choice to carry out the referendum and reactions of political leaders to the results of and events following the referendum locked-in the dysfunctional status quo that beleaguers the Kurdish Region of Iraq today. In doing so, it offers causation through a comprehensive and structured manner of analyzing the phenomena while contributing to the literature by reinforcing the utility of the Soifer’s critical juncture framework.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Background

Ⅳ. A Critical Juncture in Intra-Kurdish Relations in the KRI

Ⅴ. Conclusion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