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세계문화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2세기 전반 기독교의 구약 성경에 대한 태도

The Attitudes of Christians to the Old Testament at the First Half of the Second Century

DOI : 10.32961/jwhc.2023.06.67.75
  • 31

2세기 전반기 기독교는 유대교로부터 독립하여 새로운 정체성을 모색하고 있었다. 이 논문은 기독교 정체성 탐색에서 구약 성경에 대한 태도가 매우 중요한 지표를 제공한다고 판단하고, 세 가지 태도를 살펴보았다. 로마 교회의 클레멘스는 구약을 그 자체로 권위 있는 경전, 신앙의 지침으로 인정했다. 그는 거의 모든 논증의 근거로 구약을 이용했으며, 그것들을 비유적으로 해석해야 한다거나 그에 대한 유대인의 해석이 잘못되었다는 지적은 거의 하지 않았다. 사도 교부의 서신으로 알려진 바르나바 서신은 구약을 성스러운 경전으로 인정하였지만, 해석법은 완전히 달랐다. 바르나바 서신은 구약을 두 가지 목적에서만 이용하였다. 하나는 구약에 대한 유대인의 해석이 근본적으로 잘못되었다는 것을 지적하기 위해서였고, 다른 하나는 구약이 예수를 예표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였다. 영지주의 계열의 마르키온은 바르나바 서신의 태도, 즉 비유로 구약을 읽는 것을 반대하며 구약을 완전히 폐기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바오로 서신에 등장하는 하느님 및 복음은 구약에 등장하는 야훼 및 율법과는 완전히 다르며, 서로 조화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렇게 2세기 전반기 기독교 내에서 구약에 대한 태도는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At the first half of the 2nd century, the Christians were seeking a new identity independent of Judaism. I studied the attitudes of three Christian leaders to Old Testament. Clement of the Rome recognized the Old Testament as authoritative scriptures. He used the Old Testament as the basis for almost all arguments. The letter of Barnabas recognized the Old Testament as a sacred scripture, but its interpretation wa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at of Jews. The letter Barnabas used the Old Testament for only two purposes. One was to point out that the Jewish interpretation of the Old Testament was fundamentally wrong, and the other was to show that the Old Testament prefigured Jesus. So to the author of the letter of Barnabas the Old Testament was not a scripture that had any meaning in itself. Marcion opposed the Barnabas’s attitude and argued that the Old Testament should be completely discarded. According to him, Jesus’s God has nothing to do with the God of Old Testament. Therefore, Christianity should abandon the Old Testament. In this way, in the first half of the 2nd century, attitudes toward the Old Testament developed in various ways within Christianity.

Ⅰ. 서언

Ⅱ. 클레멘스의 1서신: 절대적 권위

Ⅲ. 바르나바의 서신: 비유로 해석해야 할 책

Ⅳ. 마르키온: 유대인의 책

Ⅴ. 결어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