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세계문화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식민통치 및 식민권력에 관한 연구 동향과 과제

Recent Trends and Challenges of Research on Colonial Rule and Colonial Power

DOI : 10.32961/jwhc.2023.09.68.65
  • 71

2000년대 이후 연구와 논의를 중심으로 식민통치 및 식민권력에 관한 연구현황과 과제를 정리했다. 먼저 1910년부터 1945년까지의 시기를 어떻게 명명할 것인가, 또 시기를 어떻게 구분할 것인가에 관한 논의를 정리했다. 그리고 식민권력이었던 조선총독부에 관해 총독과 정무총감의 위상과 권한, 식민지 관료의 구분과 시기별 변화, 본국 정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식민권력의 국가적 성격에 관한 논의를 정리했다. 식민통치에 관한 연구는 동화와 차이로 구분하여 정리했는데, 동화주의는 문명화론과 내지연장주의, 차이는 자치주의와 조선특수성론을 주요 내용으로 살펴보았다. 앞으로의 과제로는, 시기에 따른 지배정책 변화에 관한 심층적 연구, 식민권력 나아가 민간 영역을 포함한 지배블록에 대한 다변적 접근을 제기했다. 또한 식민통치가 해방 이후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그리고 식민통치의 궁극적 목표가 완전한 동화에 있었는가, 아니면 차별의 온존에 있었는가의 문제도 규명해야 할 것이다.

Trends and challenges of research on colonial rule and colonial power were summarized, focusing on discussions in recent research since the 2000s. First, I briefly summarize the discussion on how to name the period from 1910 to 1945 and how to classify the period. In addition, Joseon Governor-General which was a colonial power, was examined with a focus on the status and authority of the Governor-General and the Director-General of Political Affairs, the classification of colonial officials,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home government. And the discussion on the national nature of colonial power was summarized. Research on colonial rule was organized into assimilation and difference(discrimination). Assimilation looked at the civilization theory and mainland extension policy, and difference looked at autonomyism and distinct characteristics of Joseon as its main contents. In-depth research on changes in ruling policy over time and a multifaceted approach to the ruling bloc, including colonial power and the private sector was raised as a future task.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at impact colonial rule had after liberation and whether the ultimate goal of colonial rule was complete assimilation or the existence of discrimination.

Ⅰ. 머리말

Ⅱ. 시기 명칭과 시기 구분

Ⅲ. 조선총독부

Ⅳ. 식민통치 방식 : 동화와 자치

Ⅴ. 앞으로의 과제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