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POST.JPG
KCI등재 학술저널

성폭력 피해 의심 아동 조사 시 NICHD 수사적 면담 프로토콜의 실질적 단계 이행 실태

Status of Implementation of the Substantive Phase in the NICHD Investigative Interview Protocol for Alleged Child Sexual Abuse: Comparison of Interview transcripts Between Police Officers and Interview Experts

DOI : 10.14251/crisisonomy.2023.19.9.91
  • 74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아동 조사 실무에서 NICHD 조사적 면담 프로토콜의 조사단계가 적절히 이행되고있는지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조사경찰과 면담전문가에게 각각 조사받은 만 5세~15 세 아동의 조사 녹취록 30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질문량과 진술량의 집단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경찰은 직접질문과 선택질문 및 암시질문을, 그리고 전문가는 권유를 유의하게 많이 사용한 것으로나타났다. 집단 간 질문유형에 따른 진술량의 차이가 유의해서 경찰 면담에서는 암시질문에 따라, 그리고전문가 면담에서는 권유에 따라 아동이 유의하게 많은 정보를 진술하였다. 질문유형의 시간경과에 따른변화추이 분석 결과 전문가의 경우 1쿼터에 권유에 집중하였다가 시간 경과에 따라 직접질문과 선택질문의 사용량을 늘렸기는 하나 4쿼터까지도 비교적 많은 양의 권유를 사용하였다. 이와 달리 경찰은 1쿼터부터 직접질문을 자주 사용하였으며 시간 경과에 따라 더 많은 직접질문과 선택질문을 사용하였고 4쿼터에이르러서는 암시질문을 자주 사용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조사경찰이 NICHD 프로토콜의 실질적인 단계를 적절히 이행하고 있지 않고 있음을 시사한다.

T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substantive interview phase of the NICHD investigative interview protocol was properly implemented in the forensic interview of alleged child sexual abuse. To this end, 30 transcript of children aged 5 to 15 years who were independently interviewed by police officer and the interview expert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amount of questions and details was not significant. The police group used direct questions, option-posing, and suggestive questions significantly more than the expert group. The children reported significantly more information through suggestive questions in police officer interview, but significantly more information through invitations in expert interview. The expert group mainly used invitations in the beginning, gradually increasing the amount of direct questions, but still frequently used invitations and facilitation until the end. In contrast, the police group frequently used direct questions from the beginning, gradually increasing the amount, and rarely used invitations and facilitation toward the en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