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브랜드의 개인화된 온라인 마케팅이MZ세대의 광고 회피와 브랜드 회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sonalized Online Marketing Content on Advertising Avoidance and Brand Avoidance among MZ Generation

  • 76
한국창업학회지 제18권 제5호.jpg

본 연구는 MZ세대를 대상으로 기업의 광고에 대한 짜증, 개인정보 우려, 개인화 마케팅, 사회적 영향이 광고 회피와 브랜드 회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표본의 수집은 전국의 MZ세대 중 온라인 구매 경험이 있는 대상으로 획득한 400개의표본을 SPSS 28.0과 Smart PLS 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의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고 짜증은 광고 회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정보에 대한 우려는 광고 회피, 브랜드 회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화 마케팅은 광고 회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영향은 광고 회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MZ세대는 광고 자체에 대한 거부가 많다고 볼 수 있으며 특히, 개인정보에 대한우려가 큰 경우 브랜드 회피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브랜드 회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점을 고려할 때 기업은 개인정보를 적절하게 관리하고, 투명성을 유지하며, 고객과의 신뢰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며, 브랜드 인지도 및 태도를강화하는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how corporate advertising irritation, personal informationconcerns, personalized marketing, and social impact affect advertising avoidanceand brand avoidance for the MZ generation. The collection of samples tested thehypothesis using the SPSS 28.0 and Smart PLS 4.0 programs on 400 samplesacquired from MZ generations across the country with online purchaseexperi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advertising irrit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advertising avoidance. Second,concerns about personal informati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advertising avoidance and brand avoidance. Third, personalized marketing was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advertising avoidance. Fourth, it was foundthat social impact had a positive (+) effect on advertising avoidance. In other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MZ generation has a lot of rejection of theadvertisement itself, and in particular, when there is a high concern aboutpersonal information, it also affects brand avoidance. However, considering that itdid not affect brand avoidance, it is important for companies to properly managepersonal information, maintain transparency, and build trust with customers, andactively utilize strategies to strengthen brand awareness and attitud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