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교원교육 제39권 제6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서사문의 추론 단서 유무에 따른 인물 감정 추론의 차이

The Difference in Inferences of the Characters’ Emotion Based on the Presence of Inferential Clues in Narrative Tex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추론 단서 유무에 따른 인물 감정 추론의 차이를 분석하여 읽기이해 증진을 위한 교재 수정의 가능성과 타당성을 확인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추론 단서가 포함되지 않은 지문으로 구성된 검사지(X형)를 497명의 고등학생에게, 추론 단서가포함된 지문으로 구성된 검사지(O)형를 477명의 고등학생에게 제공하여 인물 감정 추론을 검사하였다. 응답 자료를 바탕으로 검사지 유형별, 성별, 수준별, 감정 유형별로 분석하여 인물 감정 추론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추론 단서가 포함되지 않은 지문을 읽은 학생보다 추론 단서가 포함된 지문을 읽은 학생의인물 감정 추론이 더 정확하였다. 둘째, 추론 단서를 포함한 지문과 포함하지 않은 지문의 평균 차이는 성별, 수준별로 모두 확인되었다. 셋째, 추론 단서는 긍정적 감정보다 부정적 감정 추론에 더 효과적이었다. 결론 추론 단서를 서사문에 추가하는 방안이 교재 수정의 새로운 방안으로 고려될 필요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ersonal emotion inference based on the presence of inference cues, confirming the possibility and validity of textbook revisions to enhance reading comprehension. Methods: A test consisting of passages without inference cues (Type X) was administered to 497 high school students, while a test consisting of passages with inference cues (Type O) was administered to 477 high school students to assess personal emotion inference. Based on the response data, differencesin personal emotion inference were examined by test type, gender, proficiency level, and emotion type. Results: Firstly, students who read passages with inference cues demonstrated more accurate personal emotion inference compared to those who read passages without inference cues. Secondly, the average differences between passages with and without inference cues were confirmed across gender andproficiency levels. Thirdly, inference cues were more effective in facilitating negative emotion inference compared to positive emotions. Conclusion: The addition of inference cues to narrative texts should be considered as an innovative approach for textbook revisions aimed at enhancing reading comprehension.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