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기에 겪은 트라우마 증상 대처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탐구
A Qualitative Study with Grounded T heory on how to deal with trauma symptoms experienced in Childhood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교원교육
- 제39권 제6호
-
2023.11245 - 273 (29 pages)
-
DOI : 10.14333/KJTE.2023.39.6.11
- 279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기에 겪은 트라우마로 인한 증상 대처 경험을 탐색하여 효과적 대처를 할 수 있게 하는 요인을 밝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아동기에 트라우마를 겪은 사람은 증상에 어떻게 대처하는가? 둘째, 아동기에 겪은 트라우마로 인한 증상 대처에 도움이 되는 것은 무엇인가? 연구방법 이를 위해 근거이론 연구 방법을 사용하고 이론적 표집으로 연구참여자를 모집하였다. 만 18세 이전에 트라우마 사건을 경험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6명의 참여자를 선정하여 각 1회씩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3명에 대해서는 추가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원자료를 개방코딩하여 113개의 개념, 30개의 하위범주, 16개의 범주가 형성되었고 축코딩과 선택코딩을 통해 '아동기에 트라우마를 겪은 사람은 자신을 이해해주는 환경에 있을 때 현재의 삶을 살게 하는 힘이 더욱 발휘됨' 의 핵심 범주를 도출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트라우마 사건에 아동이 취약하여 양육자와 주변 성인의 민감함이 필요하다. 둘째, 트라우마에 대한 아동 주변인들의 이해가 아동의 트라우마 증상 대처에 도움이 된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아동 트라우마에 대한 이해와 학교를 비롯한 아동 주변의 사람들이 트라우마에 민감해질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coping with symptoms caused by childhood trauma and identify the factors that facilitate effective coping. Accordingly, two research questions were formulated. First, how do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d childhood trauma cope with the symptoms? Second, what factors contribute to coping with symptoms resulting from childhood trauma? Methods: To address these questions, the study employed a grounded theory research method and recruited participants using the theoretical sampling method. Six participants were selected, who had experienced trauma events before the age of eighteen, and they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one session per participant and additional interviews with three participants. Results: The primary data were open-coded, resulting in 113 concepts, thirty subcategories, and sixteen categories. Through axial and selective coding, the core category “the power to live the present life is more pronounced when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d childhood trauma are in an understanding environment” was derived.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emphasizes the vulnerability of children to trauma events and the need for sensitivity from caregivers and adults in their surroundings. Second, it demonstrates that an understanding of trauma by individuals surrounding the child is helpfulin coping with trauma symptoms. Thus, this study highlights the necessity of understanding children'strauma and the importance of individuals in the child’s environment, including schools being sensitiveto trauma.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