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교원교육 제39권 제6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신입생의 인생과제 수행방식 향상을 위한 교과목 개발 및 효과 분석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course for improving the life tasks performance of first-year college students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신입생의 인생과제에 대한 수행방식을 향상하기 위해 Adler의 인생과제이론을 바탕으로 대학신입생의 인생과제 수행방식을 향상을 위한 교과목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분석하여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1단계에서는 교과목의 5개 전체목표와 13개의 세부목표가 Adler의 인생과제 이론을 토대로 수립되었고, 2단계에서는 26개의 학습내용이 86명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사전조사와 3명 전문가에 의한 타당성을 평가를 통해 구성되었다. 3단계에서는 35명의 대학신입생을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실시하였고, 4단계에서는 3명의 전문가평정을 통해 교과목을 최종 개발하였다. 5단계에서는 교과목의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연구대상은 K대학 대학신입생 69명이며, 36명의 실험집단과 33명의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1집단에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인생과제 수행방식 향상 교과목을 주당 1회 2시간씩 15회, 총 30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실험효과를 평가하고자, 사전·사후에 대학신입생의 인생과제 수행방식 수준을 확인하는 인생과제 척도,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 수준을 확인하는 대학생활 적응 척도, 대학신입생의 사회적 관심수준을 확인하는 사회적 관심 척도, 대학신입생의 현재 삶의 만족도 수준을 알 수 있는 만족도 척도를 실시하였고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과목에 참여한 대학신입생들은 참여하지 않은 대학신입생들보다 인생과제, 수행방식, 대학생활 적응, 사회적 관심, 삶의 만족도의 수준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대학신입생들의 인생과제 수행방식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교과목이 개발되었다는 데에서 의의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course to improve the life tasks performance of first-year college students based on Adler’s Life tasks and test its effectiveness. Methods: In step 1, the overall five goals and detailed thirteen goals of the program were set established on Adler’s Life tasks. In step 2, the twenty-six learning contents were developed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of eighty-six first-year college students and the validity evaluation of three experts. In step3, a pilot study was conducted with thirty-five first-year college students. In step 4, the course was finally developed through the evaluations of three experts. In step 5, the effectiveness of the course was evaluated. The sample was from sixty-nine first-year college students from K university of Korea. The sample was divided with thirty-six first-year college students for the treatment group and thirty-three first-year college students for the control group. The course to improve the life tasks performance of first-year college students for the treatment group was carried out for a total of 30 hours, divided into 15 sessions, with one session per week.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ourse, the Life Tasks Scale, Social Interest Scale, the Life Satisfaction Scale, and College Life Adaption Scale were used for pre-post test. The scale-score was analyzed by ANOVA. Results: The first-year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ourse developed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life tasks demonstrated significantly improved levels of life task performance, adaptation to college life, social interest, and life satisfaction than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a course was successfully developed to improve life tasks performance of first-year college student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