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대면과 비대면 수업에서 대학생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에 대한 텍스트 마이닝 분석

Text Mining Analysis of Good Classes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i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Focusing on essays from Excellent lectures at University A)

  • 18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22호.jpg

목적 좋은 수업의 직접 대상자인 학생들이 좋은 수업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며, 이러한 인식이 대면 및 비대면 수업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규명하여, 대학 수업의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법 대면과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247명의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직접 작성하여 제출한 명강의 에세이 텍스트 자료를 활용하여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분석을 실시하였다. 명강의 에세이에 나타난 핵심단어의 출현 및 비출현 빈도 분석, 동시 출현 빈도 분석, 네트워크 분석, 텍스트 중심성 분석, 하위집단 분석이 이루어졌다. 결과 좋은 수업의 특징은 대면과 비대면 수업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대면과 비대면 수업 모두 교수, 학생, 생각, 내용 등의 단어가 의미있게 도출되었다. 하지만 핵심 단어의 빈도와 순위, 동시 출현 빈도, 연결 관계, 하위 집단의 형성 결과에서 일부 차이를 보였다. 대면 수업에서는 교수자, 교육환경(학과, 학교, 전공) 등의 단어가 더 의미있게 도출되었고, 비대면 수업에서는 진행, 상호작용(의견, 참여, 토론, 피드백) 등의 단어가 더 의미있게 도출되었다. 결론 대면과 비대면 수업 모두 좋은 수업이 되기 위해서는 수업의 제 측면에 대한 다양한 고려가 동시에 필요하다. 다만 대면 수업에서는 교수자와 학습환경에 대한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고, 비대면 수업에서는 수업방법, 소통과 상호작용에 대한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at perceptions students, who are the direct recipients of good classes, have about good classes, and whether these perceptions differ depending o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 situations, and to gain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university classes. Methods Text mining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ext data from excellent lecture essays that 247 students voluntarily wrote and submitted i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 situations. Frequency analysis of appearance and non-occurrence of key words appearing in excellent lecture essays, frequency analysis of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text centrality analysis, and subgroup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a good class are not much different betwee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In both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words such as professor, student, thought, and content were derived meaningfully. However,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and ranking of key words, co-occurrence frequency, connection relationships, and subgroup formation results. In face-to-face classes, words such as instructor and educational environment (department, university, major) were derived as more meaningful, and in non-face-to-face classes, words such as progress and interaction (opinion, participation, discussion, feedback) were derived as more meaningful. Conclusions In order for both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to be good, various aspects of the class must b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However, face-to-face classes require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instructor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non-face-to-face classes require careful consideration of teaching methods,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