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우울 증상이 있는 공공기관 근로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

The Mental Health Characteristics of Municipal Personnel with Depressive Symptom

목적 : 우울 증상은 직장인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직장 및 국가 경쟁력의 손실을 초래한다. 정신건강문제가 민간 근로자들 뿐만 아니라 공공기관 근로자들에게도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공공기관 근로자들의 정신건강 특성에 대한 국내 연구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개 시의 공공기관에서 근무 중인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우울 증상과 자살에 대한 태도 및 인식을 조사하고, 우울 증상을 가진 공공기관 근로자들의 특성에 대해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일개 시의 공공기관에서 근무 중인 근로자 1,012명 전원에게 문자를 통해 설문조사를 공지하였다. 설문 내용은 사회인구학적 특성,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Perceived Stress Scale, 7-item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Scale, 자살에 대한 인식 및 태도 등으로 이루어졌다. 결과 : 설문조사는 자발적으로 동의를 한 367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자들의 40%가 우울 증상을 겪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우울 증상에 관하여 성별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우울 증상군에서 무증상군에 비해 젊은 연령의 비율이 높았다(p=0.017). 또한, 우울 증상군에서 무증상군에 비해 스트레스(p<0.001)와 불안 증상(p<0.001)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연구대상자들 중 다수가 자살에 대해서 허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무증상군에 비해 우울 증상군에서 자살에 대해 자살의 합리성(p<0.001) 및 자살에 대한 수용적 태도(p<0.001)에 동의하는 비율이 높았다. 결론 : 공공기관 근로자들 중 다수가 우울 증상을 겪고 있었고 자살에 대해 허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공기관근로자들 중 우울 증상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보다 적합한 정신건강서비스를 개발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Depressive symptoms among employees reduce their quality of life and cause loss of work competence. The importance of mental health is not only applied to private workers but also to municipal personnel. However,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mental health among municipal personnel in Korea are limite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depressive symptoms and attitudes toward suicide among municipal personnel in a metropolitan city near Seoul,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municipal personnel with depressive symptoms. Methods: In this survey, short messages were sent to 1,012 municipal personnel in the city. The survey include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Perceived Stress Scale, 7-item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Scale, and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suicide. Results: The survey was conducted in one city among 367 municipal personnel who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Forty percent of the participants had depressive symptoms. Although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did not differ by sex, the number of participants with younger age was higher in the depressive symptom group (p=0.017)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Additionally, in the depressive symptom group, there were more participants with psychological stress (p<0.001) and anxiety symptoms (p<0.001) than those without depressive symptoms. Many participants in this study showed a permissive attitude towards suicide. The ratio of agreeing to the rationality of suicide (p<0.001) and accepting attitude towards suicide (p<0.001) was higher in the depressive group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Many municipal personnel had depressive symptoms and permissive attitude towards suicid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velop more appropriate mental health services targeting individuals with depressive symptoms among municipal personnel in Korea.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