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대학에서의 AI 활용 가이드라인 현황 및 설계 방향 연구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of AI utilization guidelines in universities

  • 760
지식과 교양 제13호.jpg

본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 주요 대학에서 제작 및 배포한 ‘AI 활용 가이드라인’을 비교 분석해보고, 이를 토대로 대학이 지향하고 견지할 필요가 있는 AI 활용 가이드라인의 설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생성형 AI와 대화형 AI, 챗GPT의 특징과 챗GPT를 활용한 교육의 기능과 문제들을 살펴보고, Google에서 “대학 AI 활용 가이드라인”으로 검색된 6개 대학을 선정하여 가이드라인의 특징을 키워드로 유목화하여 대학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교수자와 학습자의 주체성과 책임감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수자와 학습자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구분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생성형 AI 활용이 교육에 미치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넷째, 대학이 지향하는 교육 목적과 공익에 부합하는 내용을 담을 필요가 있다. 다섯째, AI 활용을 위한 체크리스트를 가이드라인에 포함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AI에 대한 개념, 정의, 이해에 대한 특징을 소개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생성형 AI 답변 결과를 검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하고, 이를 통해 결과를 검토해야 함을 적시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윤리적으로 활용해야 함을 규정할 필요가 있다. 아홉째, 보안에 유의할 것을 명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에서는 급변하고 있는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의 활용 이슈를 파악하여 대학 고유의 최적화된 가이드라인을 설계하는 데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we analyze and compare the ‘AI utilization guidelines’ currently being produced and distributed by major universities in the Republic of Korea. Based on this analysis, we present the direction that universities should pursue and maintain in terms of their AI utilization guidelines. The analysis yielded several important fi ndings, as follows. (1) Emphasizing the independence and responsibility of instructors and learners is essential. (2) Clearly distinguishing and outlining the roles of instructors and learners is crucial. (3)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using generative AI in education should be addressed. (4) The guidelines should align with the educational mission of the university and serve the public interest. (5) Including a checklist for AI utilization within the guidelines is advisable. (6) Concepts,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AI understanding should be introduced. (7) The ability to review generative AI responses should be cultivated, with an emphasis on the need for thorough reviews. (8) Ethical usage of AI must be required and explicitly stated. (9) Security concerns need to be clearly documented. Through this study, universities will be better equipped to identify and address issues related to the rapidly evolving fi eld of generative AI, including technologies like ChatGP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대학에서의 AI 활용 가이드라인 특징비교분석)

5. 결론 및 제언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