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가족정책연구 제3권 제2호.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남성 육아휴직을 통한 성평등한 공동양육문화의 조성 가능성 탐색: 교사 직군을 중심으로

Exploring the Potential for Cultivating a Co-Parenting Culture Through a Paternal Leave: A Qualitative Study of Male Teachers’ Experiences

이 연구는 육아휴직제도 활용하는 남성들의 양적 증가가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개별 직업군의 특성과 맥락을 고려할 수 있는 실증연구들이 필요하고 공동양육문화형성에 기여하는 성평등 정책으로서의 육아휴직제가 작동하는지에 관한 탐색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6명의 육아휴직을 경험한 초중고 남성교사를 인터뷰한 결과, 돌봄 전반에 대한 재인식과 성평등한 공동양육문화 형성이라는 대주제가 도출되었고, 돌봄노동의 어려움, 돌봄제공자에 대한 공감과 돌봄수혜자에 대한 관심이라는 세 가지 소주제와 공동양육을 위한 파트너십, 평등한 역할 분담, 엄마와 구별되는 아빠육아라는 세 가지 소주제까지 총 6개의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이 연구는 남성의 육아휴직제도가 활성화되고 있는 시점에 교사라는 특정 직군에 한정하여 남성의 육아휴직이 가정과 일터에서의 생활에 갖는 의미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육아휴직제도가 우리 사회의 공동양육문화 형성에 어떻게 기여하는가에 대해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mergence of a gender-equitable co-parenting culture, specifically focusing on men’s utilization of the parental leave system.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six male teachers who had utilized parental leave and identified two central themes. The first primary theme, “A New Perception of Care,” encompasses three sub-themes: “challenges associated with caregiving,” “cultivating empathy towards caregivers,” and “heightened interests in care recipients.” The second primary theme, “Gender-Equitable Co- Parenting Culture,” includes three subthemes: “fostering collaborative for co-parenting partnerships,” “promoting equitable distribution of household responsibilities,” and “father parenting,” which diverge from conventional maternal parenting practices.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by concentrating on a specific occupational group, i.e., teachers, and explores how the parental leave system actively contributes to the evolution of a shared, gender-equitable co-parenting culture within our society.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