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가족정책연구 제3권 제2호.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분거부부 아내의 부부관계만족도 관련 요인: 학령기 자녀 유무에 따른 차이

Factors Related to the Couple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Wives in Commuter Marriage: Differences Between Those With and Without Children in School Age

이 연구는 남편과 분거하는 아내의 부부관계만족도 관련 요인들이 학령기 자녀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여성가족패널 6차년도 데이터에서 남편과 분거하는 아내 213명을 추출하고, 학령기 자녀의 유무에 따라 이들이 보고한 부부관계만족도 관련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첫째, 학령기 자녀가 있는 아내는 부부공유활동 빈도, 남편의 가사노동분담 만족도, 부부관계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령기 자녀가 있는 아내는 남편의 직장 때문에 분거하고 남편의 가사노동분담에 만족할수록 부부관계만족도가 높았다. 셋째, 학령기 자녀가 없는 아내는 남편의 소득이 많을수록, 남편의 직장 때문에 분거하는 경우, 가족가치관이 전통적일 경우, 부부공유활동이 빈번할수록, 남편의 가사노동분담에 만족할수록 부부관계만족도가 높았다. 이는 남편과 떨어져 학령기 자녀와 동거하는 아내가 경험하는 부부관계만족도의 이면에는 자녀교육이라는 변수가 작용하고 있을 것이라는 추정을 가능케 하며, 분거하는 부부의 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가족생활주기 단계를 고려한 개입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related to the couple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213 wives in commuter marriages and whether the factors differed for those with or without children in school age. Data were extracted from the 6th wave of the KLoWF. Analytic results revealed that, first, wives with school-aged children shared more time with husbands and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husbands’ sharing of domestic labor and couple relationships. Second, wives with school-aged children had better couple relationships when they were in commuter marriage due to the husband’s workplace and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husband’s sharing of domestic labor. Third, wives without school-aged children had higher couple relationship satisfaction when they lived apart due to the husband’s workplace,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husband’s sharing of domestic labor, had traditional family values, when the husband’s income was higher than the wife, and when couples shared more time. Findings suggest that child education might have acted as a significant factor in the wives’ assessment of couple relationships, and that interventions that aims to improve couple relationships in commuter marriage should consider the family life cycle.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