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가족정책연구 제3권 제2호.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미혼 청년의 동거의향, 결혼의향, 출산의향에 따른 잠재유형 및 유형별 특성

Latent Profiles of Unmarried Korean Young Adults’ Cohabitation, Marriage, and Birth Inten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미혼 청년의 동거의향, 결혼의향, 출산의향을 분류 지표로 하는 잠재유형을 도출하고, 각 잠재유형을 설명하는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성인진입기 인식이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때 동거의향은 결혼을 전제하지 않은 ‘결혼과 분리된 동거의향’과 결혼을 전제하는 ‘결혼의 과정으로서의 동거의향’으로 구분하여 분류지표로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34세이며 결혼 경험과 자녀가 없는 전국 남녀 1,119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 결과, ‘관계 지향형(51.1%)’, ‘파트너십 지향형(33.8%)’, ‘관계 기피형(8.6%)’, ‘전통적 관계형(6.4%)’으로 유형화되었다. 현재를 정체성 탐색의 시기라고 인식할수록 ‘관계 지향형’에 속할 가능성이 ‘관계기피형’과 ‘파트너십 지향형’에 속할 가능성보다 높았고, 낀 시기라고 인식할수록 ‘전통적 관계형’, ‘관계 기피형’에 속할 가능성이 ‘관계 지향형’에 속할 가능성보다 높았다. 본 연구는 동거·결혼·출산의향의 잠재유형 및 유형별 설명요인을 살펴봄으로써, 미혼 청년 집단 내 다양성에 대한 이해에 기여했다는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we aimed to identify the latent profiles of unmarried Korean young adults’ intentions to cohabit (either without considering getting married or as a process of marriage), to marry, and to have a child. We also investigated the predictors of the profile membership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young adults’ perceptions of emerging adulthood. Using a sample of 1,119 never-married, childless young adults aged 19-34 years, our latent profile analysis classified four latent profiles based on the levels of their intentions to cohabit, to marry, and to have a child: (a) Intimacy Seekers (51.1%), (b) Partnership Seekers (33.8%), (c) Intimacy Avoiders (8.6%), and (d) Traditional Norm Followers (6.4%). Intimacy Seekers were individuals with strong intentions to cohabit, to marry, and to have a child. Partnership Seekers were young adults who inclined toward cohabitation and marriage but exhibited low intentions to have a child. Those who perceived the current life stage as an opportunity for “identity explorations” were more likely to be categorized as Intimacy Seekers than Intimacy Avoiders and Partnership Seekers. Those who felt they were “in-between” were more likely to be classified as Intimacy Avoiders and Traditional Norm Followers than Intimacy Seeker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offering insights into the heterogeneity among unmarried Korean young adult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