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육의 교육 질 관리와 향상을 위해 국내 대학 CTL에서 운영하는 수업컨설팅 프로그램의 현황을 분석하고 발전 방안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대학별 자구노력이 아닌 전체 고등교육의 질관리를 위해 보편적인 운영·관리·개선의 방향이 마련이 필요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국내4년제 대학 CTL의 수업컨설팅 프로그램을 사례 조사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각 대학의 수업컨설팅 프로그램 운영현황을 조사한 결과, 조사한 모든 대학에서 수업컨설팅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그과정은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조사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대학의 수업컨설팅 프로그램 특징을 분석한 결과, 자기수업컨설팅과 수업계획서 컨설팅의 지원 부족, 대상별 컨설팅에서의 내용의 차별성 및 체계적 관리의 부재가 확인되었다. 셋째, 효과적인 수업컨설팅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향후 과제를 기존 수업컨설팅 프로그램 설계의 체계화, 교수 맞춤형 홍보서비스, 그리고 수업컨설팅 시스템의구축과 활용 3가지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domestic university Centers for Teaching and Learning (CTL) instructional consulting programs to improve higher education quality. We explore avenues for enhancement, emphasizing a universal approach for overall quality management. The research includes a detailed examination of a 4-year university's CTL instructional consulting program. First, in our survey of university instructional consulting programs, we found that every university operates a similar program. Secondly, we found shortcomings in domestic university instructional consulting programs, including insufficient support for self-instructional and lesson plan consulting, as well as distinct variations in content for target-specific consulting and a lack of systematic management. Thirdly, for effective instructional consulting program operation, we suggest three tasks: streamline program designs, offer personalized promotional services for professors, and establish/utilize a robust consulting system.
1. 서론
2. 대학 수업컨설팅 운영 현황
3. 결론 및 제언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