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의 목적은 판소리 지역자원문화에 에코뮤지엄의 기능을 적용하고 그 가능성을 고찰하는데 있다. 본고에서는 특히, 전주의 ‘학인당’을 주목하였고, 전주지역의 판소리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방법으로 판소리 에코뮤지엄적 가치를 도출하였다. 그 가능성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인당’은 100 년이상의 고택이자 최초 판소리 공연장으로서의 역사적 공간이라는 점이다. 둘째, ‘전주 대사습’이라는전통음악의 명맥이 흐르는 고장이다. 셋째, 지역민들과 관광객 모두가 참여하는 ‘박물관 활동’을 포함하고 있다. 넷째, 전통문화와 소리의 고장인 ‘전주 한옥마을’ 의 인프라를 활용한다면 지속가능한 ‘문화살롱 공간’으로의 효용가치가 있다는 점이다. 다섯째, ‘학인당’이 에코뮤지엄으로서의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지역과 주민의 참여와 봉사가 중요하다는 점이다. 본 연구를 통해, 더욱 다양한 국악공간과 관련한에코뮤지엄의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pply the function of the Eco Museum to the local resource culture of Pansori and to examine its possibility.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Jeonju's ‘Hagindang’, and derived the value of the Pansori Eco Museum as a way to revitalize the Pansori local culture in Jeonju,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agindang’ is an old house of more than 100 years and a historical space as the first Pansori performance hall. Second, it is a town with the reputation of traditional music called “Jeonju Daesaseup”. Third, it includes “museum activities” in which both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participate. Fourth, if the infrastructure of Jeonju Hanok Village, the home of traditional culture and sound, is utilized, it has a utility value as a sustainable cultural salon space. Fifth, in order for Hakdang to function as an eco-music museum, the participation and service of the region and residents are important.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research on eco-museums related to more diverse Korean traditional music spaces will be conducted.
1. 서론
2. 에코뮤지엄과 지역공간
3. 전주 학인당의 판소리 공간연구
4. 결론 및 제언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