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학업 상황에서 경험한 예비 특수교사의 무기력

Helplessness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Academic Settings

  • 95
문화와 융합 제45권 11호.jpg

이 연구는 예비 특수교사의 ‘학업 상황에서 경험한 무기력(학업 무기력)’의 특징을 조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범대학 초등특수교육 전공 2학년 15명을 대상으로 재학기간 경험한 학업 무기력에 대한 서면인터뷰를 수행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업 무기력 경험에 대해 25개의 중심 의미와 7개의 주제(학업성취 수준에 대한 기대와 현실의 불일치, 대학 생활에서의사회적 부적응, 외부 평가에 대한 과중한 집중, 신체 건강 악화에 따른 학습 집중력 감소 및 동기 상실, 무기력을 자각한 상태에서 탐색된 외부 지원, 환경적 제한 및 자신의 한계 수용, 학습 동기 및 목표의 재탐색)가 드러났다. 이 주제들은 다양한 부정적 사건과 관련된 통제 불가능한 상황 및 그 상황에대한 대응 전략에 중점을 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이 특수교원 양성과정에 줄 수 있는 시사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helplessness among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students. Through written interviews, the study collected experiences of academic helplessness from 15 students majoring in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at a teachers' college. Phenomenological methods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gathered data. The analysis identified 25 meaning units that were categorized into 7 sub-themes. These included discrepancy between expectations and reality regarding academic achievement, social maladjustment in university life, overemphasis on external assessments. diminished focus and motivation for learning due to declining physical health, seeking external support upon recognizing helplessness, accepting environmental constraints and one’s own limitations, and re-exploring learning motivation and goals. These themes highlight the uncontrollable challenges students encounter in various adverse situations and the strategies they adopt to manage them. The findings provide implications and recommended further research directions for enhancing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courses.

1. 서론

2. 연구방법

3. 분석 결과

4. 주요 결과 및 논의

5.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 방향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