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교육문제연구 第89輯.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교육 ODA 교사 연수에 참여한 아제르바이잔 교사들의 경험 분석

Analysis of the Experiences of Azerbaijani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Korean Education ODA Teacher Training

이 논문은 KOICA의 교육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ODA) 프로젝트로 이루어진 온라인 기반 연수에 참여한 아제르바이잔 교사들의 경험을 질적 패러다임에 의해 탐색하여 그 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아제르바이잔 교육문화 특성에 기초하여 학습자 참여형으로 기획된 아제르바이잔 교사 연수가 수원국인 아제르바이잔 교사들에게 어떻게 경험되고 의미화되는지를 탐색하여 공여국으로서 그 역할을 강화하고 있는 한국 교육 ODA에의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38명의 아제르바이잔 교사들과 온라인 심층 개별 면담을 진행하였고, 주요한 면담 내용를 주제별로 범주화하는 ‘주제별 분석(Analysis thematique)’방법을 활용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KOICA의 교육 ODA에 참여한 아제르바이잔 교사들의 내러티브는 1) 교수실천(instruction practice)에 대한 자기효능감 향상 2) 교육과 학습에 대한 인식의 재구성 3) 미래교육과 교사 정체성 재구성 4) 연수효과의 확산과 국제 교사 네트워크에의 열망 등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한국의 교육 ODA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uses a qualitative paradigm to analyze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Azerbaijani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n online-based training organized by KOICA's Education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project. In other words, the study aimed to explore how Azerbaijani teacher training, designed as a learner-participatory program based on Azerbaijani educational cultural characteristics, is experienced and meaningful to Azerbaijani teachers in the source country and to discuss implications for Korean education ODA, which is strengthening its role as a donor country. To this end, in-depth online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38 Azerbaijani teachers,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using the ‘analysis thematique’ method, which categorizes key interview findings into them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narratives of Azerbaijani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KOICA's education ODA can be categorized as 1) improving their self-efficacy in teaching practice, 2) reconstructing their percep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3) reconstructing their future education and teacher identity, and 4) aspiring to spread their training effectiveness and join international teacher network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Korea's education ODA are presented.

Ⅰ. 서론

Ⅱ. 연구 배경

Ⅲ. 교육 ODA 교사 연수 과정 구성의 특성과 진행 과정

Ⅳ. 연구 방법 및 과정

Ⅴ. 연수 경험에 대한 아제르바이잔 교사들의 내러티브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