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심리적 요인이 전국, 서울, 비수도권의 지역별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소비심리지수, 아파트 건설 인・허가실적과 외생변수인 회사채수익률, 소비자물가지수로 구성한 VARX 모형을 이용해 실증분석하였다. VARX 모형 추정결과, 모든 지역에서 아파트 매매가격 변화율에 주택 소비심리지수 변화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 회사채수익률 변화율은 부(-), 소비자물가지수 변화율은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계수값을 살펴보면 서울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소비심리, 회사채수익률과 소비자물가지수가 아파트 매매가격 변화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격반응 분석결과, 모든 지역에서 아파트 매매가격 변화율은 주택소비심리 변화율의 충격에 정(+)의 반응을 나타냈고 아파트 건설 인・허가실적 변화율의 충격에 뚜렷한 반응을 보이지는 않으면서 미약하게 서울은 부(-)의 반응을 전국과 비수도권에서는 정(+)의 반응을 보이며 수렴하였다. 서울지역의 주택소비심리 변화율의 충격이 아파트 매매가격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른 지역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onsumer sentiment on housing prices by region,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VARX model, including apartment sales price index, consumer sentiment index, apartment construction permit performance, corporate bond yield rate, and consumer price index. As a result of the VARX model estimation, the change rate of the housing consumer sentiment index has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change rate of apartment sales prices, the change rate of the corporate bond yield has a negative (-), and the change rate of the consumer price index has a positive (+) effect in all regions. Looking at the coefficient values, it was found that consumer sentiment, corporate bond yield, and consumer price index had a greater impact on the rate of change in apartment sales prices in Seoul than in other regions. As a result of the impulse response analysis, the change rate of apartment sales price showed a positive (+) response to the shock of the change rate of housing consumption sentiment in all regions. The change rate of apartment sales price showed a weakly negative (-) response to the shock of the apartment construction permit performance in Seoul, was converged with a positive (+) response in nationwide and in non-metropolitan areas. It was found that the impact of the change rate of housing consumption sentiment in Seoul has a greater impact on the change rate of apartment sales prices than in other regions.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결과
Ⅳ.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