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니트 결정요인
Determinants of youth NEET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 Focusing on self-efficacy and social background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 제7권 제6호
- 2023.11
- 105 - 124 (20 pages)
청년기는 인생의 꿈과 희망을 설계하고 실현화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시기이므로 최근에 사회, 기술, 경제, 생태 및 환경, 그리고 정치 영역에서 급격한 변화는 청년층의 일자리 이행에 위기(Crisis)로 작용하고 자칫 잘못하면 무업(NEET) 상태로 들어서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인구학적 배경 정보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과 부모의 직업 및 학력, 주거 형태와 주택 종류, 부모로부터의 독립 여부 등 사회경제적 변인들까지 아울러 과연 청년을 무업화(NEET) 상태로 들어서게 만드는 주된 요인이 무엇인지 종합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 2007 9-14차(2015-2022년) 자료를 이용하였고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효능감이 낮은 청년들일수록 청년니트로 이행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부모로부터 경제적으로 독립하지 못하고 부모와 함께 동거 중인 청년층일수록 니트로 이행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고, 주거환경에서는 아파트, 단독주택 거주 청년층의 니트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남성이 여성보다 니트가 될 확률이 높고, 지역별로는 호남권 거주 청년층의 니트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 무업(NEET)화를 예방할 수 있는 정책 프로그램을 활성화해야 한다. 둘째, 니트 예방 정책 프로그램에 자기효능감 제고를 위한 교과 내용 강화 및 성과지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산업육성 정책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교육·훈련 영역의 전략적 인재 개발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벌 위주보다는 역량에 기초한 공정한 채용과 인재 관리 문화를 정착시키고, 지역 간 임금 격차를 완화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Youth period is a period of life in which individuals strive to design and realize their dreams and hopes. Recent profound changes in society, technology, the economy, ecology and environment, and politics have posed a crisis in youth employment and, if mishandled, can lead them into a state of NEET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 In this study, we aimed to analyze the main factors contributing to youth NEET status, considering not only general demographic background information but also socio-economic variables such as self-efficacy, parents' occupation and education, housing type and residence, and financial independence from parents. To do this, we utilized data from the Korean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s Youth Panel from 2007 to 2015-2022 and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s.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in general, young individuals with lower self-efficacy were more likely to transition into NEET status. Additionally, young adults who were financially dependent on their parents and lived with them were more likely to become NEETs. Regarding housing environment, it was found that young adults living in apartments or detached houses had a higher probability of becoming NEETs. Furthermore, the probability of NEET status was higher for males compared to females, and regional differences showed that young adults residing in the Jeolla-Gwangju region had a higher probability of NEET statu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policy programs that can prevent youth unemployment (NEET) should be activated. Secondl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ntent of the subject and establish performance indicators to enhance self-efficacy in the knit prevention policy program. Thirdly, a tailored industry development policy that takes into account regional characteristics, along with strategic Human resource development(HRD)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training, should be implemented to improve youth employment opportunities. Lastly, it is recommended to establish a fair recruitment and talent management culture based on competencies rather than academic qualifications, along with policies to alleviate excessive wage gaps between job positions. A holistic approach to youth housing and employment policies was also suggest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