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Long-form Negation in Adult Korean Heritage Speakers

한국어 계승어 화자의 장형 부정문 습득

  • 8
커버이미지 없음

이 연구는 미국에 거주하고 한국어를 계승언어로 배우는 재미교포 화자들이 한국어 장형 부정문을 완전하게 습득하는지 살펴봄으로써 계승언어의 불완전한 습득 및 언어 손실에 취약성을 결정하는 요인 중 언어 현상의 습득 순서, 빈도수, 그리고 유표성이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한다. 한국어 장형 부정문은 모국어 습득에서 상대적으로 늦게 만 3세 이후 습득되며 보다 간단한 단형 부정문으로 대체될 수 있기 때문에 계승어 화자들이 이 구조를 불완전하게 습득할 것으로 예측된다. 계승어 화자들이 한국어 부정문을 어떻게 이해하고 사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구두 및 필기 시험을 분석해 본 결과, 장형 부정문보다 단형 부정문의 사용을 선호하며 장형부정문의 대체적인 구조를 이해하고 있지만 문법적인 속성의 이해가 부족하여 모국어 화자들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계승어 화자들의 발화문과 문법성 판단 패턴에 높은 불확실성을 살펴볼 수 있었고 비문을 수용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상대적으로 늦게 습득되며 대체가능한 문법 구조가 있는 장형 부정문은 계승언어의 불완전한 습득 또는 손실에 취약한 문법 영역임을 시사한다.

1. Introduction

2. Background

3. Method

4. Results

5. Discussion

Referenc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