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목적은 아트테이너들의 활동을 연구하여 21세기 변화하는 미술계와 대중문화의 특징을 살피는 데 있다. 조사 결과 그들 대부분은 젊은 가수나 영화배우로 미술 비전공자이지만, 24%가 전공자이며 높은 학벌을 자랑하는 연예인 비중도 뚜렷하다. 그들은 서울,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로 아트페어, 갤러리 같은 장소는 물론, 미술경매, NFT, 홈쇼핑 등에서 활동하여 상업적 성격이 강조된다. 그리고 그들의 작품은 미술시장에서 높은 인기와 함께 높은 가격대를 형성한다. 그들 대부분은 행사성이 강한 미술 단체전을 통해 활동하지만, 몇몇 연예인들은 유명 갤러리나 인지도 높은 미술 공간에서 꾸준히 작품을 소개한다. 또한, 연예인들은 특별한 미술 활동 없이 ‘예술가’를 선언하며 높은 대중적 인기를 구가한다. 한편, 아트테이너들은 미술관, 아트센터, 비엔날레와 같이 예술적 성격이 강조되는 공간에서도 작품을 선보이고, 각종 기부 활동에도 적극적이다. 또한, 상당수의 기성 예술가가 연예인과 함께 작품을 소개하여 미술계와 연예계의 교집합이 형성된다. 이처럼 본 논문은 아트테이너를 분석하여 21세기 미술계와 대중문화의 특징을 고찰한다는 의의를 나타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nging characteristics of the art world and popular culture in the 21st century by tracking entertainers who are also active in the arts, also known as “arttain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ost “arttainers” are young singers or actors with no academic art background, while 24% are art majors from prestigious universities. They are mainly active in commercial venues such as art fairs and galleries in Seoul and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s well as in art auctions, NFTs, and home shopping. Their works are highly popular in the market and command high prices. Most of them participate in “group art exhibitions,” which are a kind of casual art event, but some celebrities consistently introduce their works at famous galleries and well-known art spaces. In addition, celebrities declare themselves to be “artists” without having participated in any specific art activities in their their public career. On the other hand, “arttainers” also present their works in spaces with a strong artistic character, such as art museums, art centers, and biennials, and are active in various charitable activities. In addition, a significant number of established artists present their works together with celebrities, forming an intersection between the art world and the entertainment world. In this way,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21st century art world and popular culture by analyzing “arttainer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본론
Ⅴ. 연구결과 및 논의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