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상고사학보 제12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청동기시대 남한지역 칠기의 출현과 유입 양상

The Appearance and Inflow of Lacquerware on in South Korea during the Bronze Age

DOI : 10.18040/sgs.2023.122.5
  • 98

남한지역에서 칠기는 청동기시대부터 확인되지만, 이러한 칠기 문화의 출현 배경, 유입 경로, 유입 시점 등에 대해서는 제대로 논의된 바가 없다. 남한지역은 청동기시대 후기 여수 적량동 유적을 기점으로 창원 덕천리, 아산 남성리, 화순 대곡리, 함평 초포리, 충주 호암동 유적 등에서 칠기가 조사되었다. 초기 칠기는 주로 지석묘와 적석목관묘에서 출토되었고, 소유자의 신분을 드러내는 위세품이었다. 이는 당시 칠기가 귀중품으로 지배자만이 소유할 수 있는 물건이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칠기를 실제 남한지역에서 직접 제작했는지 외부에서 원료만 수입한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하지만 비파형동검, 세형동검과 같은 한국 청동기문화를 공유한 집단의 상징을 반영하는 유물에 칠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청동기시대 후기에는 이미 자체적인 칠기 제작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남한지역의 칠기는 중국 동부연안지역(산동반도~절강성 일대)에서 해로를 통해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유입 시점은 최소한 여수 적량동 유적 이전으로 생각되지만 향후 더 이른 시기의 유적이 조사될 가능성도 있다. 당시의 칠기 문화는 전문적인 생산 체계가 갖추어지지 못했고, 특정거점을 중심으로 칠의 존재를 인식하여, 소규모로 칠을 생산하여 물건을 제작했던 유입기의 양상을 보인다.

In South Korea, lacquerware has been identified since the Bronze Age, but these has been no proper discussion about the background, route of introduction, and timing of the emergence of lacquer culture. In South Korea, lacquerware was investigated in Deokcheon-ri, Changwon, Namseong-ri, Asan, Daegok-ri, Hwasun, Chopo-ri, Hampyeong, and Hoam-dong, Chungju, starting from Jeoknyang-dong, Yeosu in the late Bronze Age. Early lacquerware was mainly excavated from Dolmen and Stone-piled Tomb with a Wooden Coffin, and was a prestige goods that revealed the owner's status. This shows that lacquerware was a valuable goods and could only be owned by the ruler. It is not clear whether these lacquerware were actually produced directly in South Korea or only raw materials were imported from outside. However, in that lacquerware was painted on relics that reflect the symbols of group that shared Korean bronze culture, such as mandolin shaped bronze dagger and slender bronze dagger, it can be said that their own lacquerware was already produced in the late Bronze Age. It is estimated that lacquerware from South Korea was introduced through seaway from eastern coastal ports in china(Sandong Peninsula to Zhejiang Province). The timing of the inflow is thought to be at least before the oil field in Jeoknyang-dong, Yeosu, bu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emains of earlier periods will be investigated in the future. At that time, the lacquer culture did not have a professional production system, and recognized the existence of lacquer around a specific base, showing the aspect of the inflow period in which lacquer was produced on a small scale.

Ⅰ. 머리말

Ⅱ. 청동기시대 칠기 유적 검토

Ⅲ. 청동기시대 칠기 부장의 특징과 제작 문제

Ⅳ. 남한지역 칠기의 유입과 기원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