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상고사학보 제12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人骨 出土 事例로 본 中古期 新羅古墳 追加葬의 再認識

A Re-acquaintance to Additional Burial in the Middle Ancient Period of Silla Tombs from Case of Excavation of Human Bones

DOI : 10.18040/sgs.2023.122.29
  • 124

추가장이 가능한 횡혈(구)식 석실묘에는 복수의 사망자가 매장되며, 즉물적 연구를 통해 추가장의 횟수와 시간 폭을 추론할 수 있으나, 인골 출토 사례가 희소하여 구체적인 매장 양상의 복원은 한계가 따랐다. 그러나 최근까지 축적된 자료를 살피면 인골의 노출 형태를 통한 추가장 양상을 복원할 수 있음에 주목하였다. 이에 앞서 추가장과 관련된 용어를 정리한 다음 현재까지 중고기 신라 권역에서 최소개체수 2구 이상의 인골이 출토된 고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골의 노출상태에 따라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된다. 이상의 자료로 보아 추가장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가 주목된다. 먼저 피장자의 수와 시상의 수는 1:1로 대응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집골된 유해를 안치하기 위한 시설의 존재 가능성을 제시하였는데, 기왕의 遺物副葬臺나 祭臺가 집골 유해를 안치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성되었을 가능성도 상존한다. 아울러 수혈계 묘제에서도 추가장이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양상은 6세기 이후 횡혈식 묘제와 상장례에 대한 신라 중앙의 규제와 인식이 지방으로 재확산되면서 상장제의 양식적 선택압이 작용한 결과임을 피력하였다.

Multiple bodies were buried in stone chamber tombs with old-style horizontal entrances that were designed to accommodate additional burials. The number of additional burials and time span between themcan be determined through physical research. However, the scarcity of cases where human bones were excavated has hindered the restoration of detailed aspects of these burials. Nevertheless, we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restoration by studying the exposure of human bones in existing data. Prior to this, we organized the terminology related to additional burials and proceeded to analyze ancient tombs discovered in areas that date back tothe middle ancient period of Silla, where human bones from more than one individual were found. As a result, we categorized the bones into four types based on their exposure. The above data highlights several issues regarding additional burials. Firstly, it is observed that the number of buried bodies does not directly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alami. Additionally, we propose the possibility of a facility specifically designed for burying bones collected from an individual’s remains. It is equally plausible that altars for burying remains or funeral altars were constructed for the purpose of interring the gathered bones. Furthermore, we have also confirmed that the types of tombs prepared prior to death were likewise utilized for additional burials. Our conclusions suggest that these phenomena emergedfrom the re-dissemination of Silla’s central regulations and perspectives on horizontal entrance tombs and funeral ceremonies in rural areas sincethe sixth century, along with the corresponding pressure to adopt these burial practices.

Ⅰ. 머리말

Ⅱ. 용어의 정의

Ⅲ. 추가장 사례 검토

Ⅳ. 중고기 신라고분 추가장의 재인식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