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Family Discourse at Multicultural Homes in Korea: With an emphasis on mother-child interactions in homework caring situations
한국 다문화 가정에서 나타나는 가족 담화의 특성과 패턴: 숙제 돌보기와 관련된 모자간 상호 작용을 중심으로
- 3
결혼 이민자의 수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한국 사회는 소위 다문화 가정과 그 이민자 구성원들을 위한 한국어,한국 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그러나 결혼 이민자들이 사용하는 언어의 담화, 화용적 측면에 대한 본격적이고 심도 깊은 연구는 아직그리 많지 않다. 본 연구는 한국 다문화 가정의 구성원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담화상의 상호 작용을 담화 분석적 방법론을 기반으로 기술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베트남과 몽골 출신 어머니들로 구성된 두다문화 가정의 자연스러운 대화를 녹음 및 전사하였다. 이 자료를 기반으로 특히 이들 어머니들의 자녀 숙제 돌보기와 관련된 모자간 상호 작용을미시적으로 분석, 기술함으로써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의 담화 특성과 유형이 그들의 언어 숙달도와 깊은 관련이 있음을 논의하였다. 즉, 유창성이 중급 이하로 판단되는 베트남 출신 어머니는 명령형 문장을 사용한 직접 화행을 자주 구사하며 동일 구절을 계속 반복함으로써, 다그치는 듯한 강압적 담화 패턴을 보였다. 이 베트남 어머니의 딸은 때때로 선생님과 같은역할을 취하면서 자신의 어머니의 발화의 화용적 부적절성과 부정확한 발음을 교정하려고 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반면,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인 몽골 출신 어머니는 비록 바꾸어 말하기(paraphrase)에 있어서 한계를 보이며역시 동일 구절 반복의 양상을 보이기는 하지만, 간접 화행과 얼버무리기표현(주변어) 등을 사용함으로써 더욱 부드러운 발화 특성을 보였다. 이 몽골 어머니의 아들은 어머니를 적극적으로 가르치려 드는 모습은 보이지않았지만, 어머니의 부정확한 발음을 장난스럽게 흉내 내면서 어머니가 한국어 모국어 화자가 아님을 인지하고 있음을 드러내었다.
1. Introduction
2. Method
3. Discursive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the mothers
4.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s talk
5. Conclusions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