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Bilingual lexical processing in the Stroop task: Evidence from an fMRI study

스트륨 과제로 본 이중언어 어휘처리: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연구

본 연구는 한국어(L1)-영어(L2) 이중언어자가 색-단어 스트룹 과제를 하는 동안 활성화 되는뇌 영역을 분석하여, 두 언어에 따른 처리방식을 검토해보려는 목적으로수행되었다. 실험참가자들은 두 가지 언어의 조합으로 구성된 이중언어 스트룹 과제를 수행하였다. 결과, 단어-색의 불일치 조건에서는, 두 언어에서모두 전대상피질, 하두정소엽, 방추상회의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특히 전대상피질은 자극과 단어가 L1으로 제시된 경우에 L2로 제시된 경우보다 더강하게 활성화 되었는데, 이는 L1으로 과제를 수행하는 것이 더 많은 인지적 통제과정이 요구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번역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극단어는 L1, 반응단어는 L2인 경우 언어영역으로 알려진 하전두회의 활성화가 증가되었으며, 이는 L1이 L2에 비해 더 자동적으로 처리되며, 따라서단어읽기를 억제하는데 더 많은 인지적 요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곧, L1은 자동처리, L2는 통제처리 기제를 사용한다는 Paradis (1994)의 주장이 확인되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L1에서 L2로 번역이 그 반대의 경우보다더 약한 연결을 가지며, 따라서 인지적인 노력이 더 요구된다는 Kroll &Stewart (1994)의 위계적 모형을 지지한다. 본 연구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방법을 이용하여 뇌 활성화 양상을 직접 검토하여 이중언어의 처리모형을검증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1. Introduction

2. Method

3. Results

4. Discussions

5. Conclusion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