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경영연구 第38卷 第4號.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성과작업시스템과 유연근무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and Flexible Work: The Implications That Moderating Effect of Automation Level Means

DOI : 10.22903/jbr.2023.38.특별호.99
  • 79

최근 조직 내 구성원의 일과 삶의 양립을 위한 근로환경 조성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업은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전략적 방법의 하나로 유연근무제도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유연근무제도 시행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적 뒷받침 역할을 할 수 있는가?’라는 고찰에서 출발하였다. 그리고 최근 자동화 기기의 성장으로 기업의 가치활동을 위한 전략을 인간에서 기계로 의존하고자 하는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우리는 이런 변화가 고성과작업시스템과 유연근무제도 도입 간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도 함께 분석하고 있다. 이 연구 결과가 기술의 발전 및 구성원의 개인적 욕구 증가, 이해관계자 중심의 경영 요구 등으로 인한 경영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고민하는 경영자나 기업 실무자에게 효과적인 전략적 선택지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연구의 표본은 격년제로 조사하여 자료를 축적하는 한국노동연구원의 사업체 패널(WPS)의 최근 발표 자료 중, 제6차(2015년도)부터 제8차(2019년도)까지 모두 응답한 100인 이상의 309개 사업장 대상으로 927개의 균형패널 자료를 추출하여 패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고성과작업시스템은 유연근무제도 도입에 정(+)의 영향이 있었다. 이는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유연근무제도 도입을 촉진하는 선행요인으로써 제도적 뒷받침 역할을 하는 근거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자동화 정도는 고성과작업시스템과 유연근무제도 도입 간 정(+)의 영향을 약화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자동화를 도입하는 정도에 따라 근로자의 삶에 관련된 유연근무제도 도입에 영향이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과 한계점을 제시한다.

We analyzed empirically that the main effect of HPWS on the flexible work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utomation, utilizing the workplace panel data from Korea Labor Institute. We extracted the balanced panel data consisted of 3 waves(the year of 2015, 2017, 2019) and 309 workplaces that have over 100 employees. We analyzed this data-set by both the fixed effect model and the random effect model, the results were similar on both models. We interpreted the results based on the fixed effect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HPWS made positive effects on the adoption of flexible work, The automation level neutralized the effects of HPWS on the adoption of flexible work. According to the results, we speculate that HPWS and automation interacts but automation can encroach the role of HPWS on the outcome. We discussed the practical and academic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Ⅰ. 서 론

Ⅱ. 연구 배경과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시사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