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Pragmatic Transference in Refusals

모국어 전이 현상

  • 5
커버이미지 없음

언어 습득 과정 중 다양하게 일어나는 언어 변이 현상은 사회언어학적인 입장, 언어학적인 입장, 음성학적인 입장 등 다양한 관점과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어 지고 있다. 새로운 언어를 배워 제2외국어로 대화를 한다는 것은 새로운 사회학적인 언어 규범을 배워 그에 맞게 의사소통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논문은 제2외국어를 통한 대화과정에서 모국어 전이 현상이 어떻게 일어나는지에 관한 현상을 연구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사회언어학적인 측면에서 연구되는 모국어 전이 현상은 불어, 영어, 독일어, 스페인어 등 다양한 언어 데이터를 가지고 많은 논문들이 발표되었으나 한국어 데이터를 가지고 연구된 논문은 매우 극소수이다. 본 연구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화자,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화자, 한국어와 영어를 이중 언어로 사용하는 화자를 대상으로 Bee et al (1990) 연구에서 사용된 언어 응답 테스트지(Discourse Completion Test) 를 이용, 결과를 분석/조사하여 의사소통 과정에서 일어나는 응답의 차이점과 공통점에 관하여 기술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 언어학적인 언어 현상을 이해하고자 시도된 논문이다. “거절”을 표현하는 의사 소통관계에 있어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화자는 지위의 관계성에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화자보다 매우 민감한 성향을 보였고, 구체적인 이유의 제시보다는 추상적인 이유로 “거절”에 대한 의사 표현을 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1. Introduction

2. Review of the Literature

3. Method

4. Data Analysis

5. Findings and Discussion

6. Implication and Conclusion

Referenc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