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자발화와 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Enhanced Milieu Teaching on Spontaneous Language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0
한국특수아동학회.jpg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4명의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자발화와 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독립변인인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는 환경중심 언어중재 전략과 함께 환경 조절 전략과 반응적 상호작용 전략을 포함한 것으로, 각 전략의 세부 절차를 단계적으로 적용하며 진행되었다. 중재는 연구 대상 아동들이 내원하고 있는 아동발달센터 내 일대일 중재가 이루어지는 언어치료실에서 15회기씩 이루어졌다. 종속변인으로 ‘시작 발화’와 ‘반응 발화’를 포함하는 자발화와 ‘요구하기, 반응하기, 객관적 진술하기, 주관적 진술하기’의 기능적 의사소통의 유형 빈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활용하였으며, 중재 전 기초선, 중재, 유지와 일반화를 위한 중재 후 기초선 순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중재 전 기초선에 비해 중재기간과 중재 후 기초선에서 나타난 연구 대상들의 자발화와 기능적 의사소통 유형이 나타나는 빈도가 증가하였다.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자발화와 기능적 의사소통을 증진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자발화와 기능적 의사소통을 증진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Enhanced Milieu Teaching on the ability related to spontaneous language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Metho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structured intervention room setting for Enhanced Milieu Teaching.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fou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For this study,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used to identify a potential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implementation of the Enhanced Milieu Teaching embedded in the spontaneous language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situations.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included the frequency of the exact spontaneous language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emitted by the participants. Result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nhanced Milieu Teaching would be effective to increase participants’ spontaneous language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The effects of the Enhanced Milieu Teaching maintained in the follow-up post-intervention probe phas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nhanced Milieu Teaching is effective in promoting the spontaneous language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