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형태론 25권 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을걸’과 ‘말다’ 보충법

-Ulkel and -malta suppletion

DOI : 10.51157/kmor.2023.25.2.98
  • 57

이 글은 ‘-을걸’의 중의성에 따른 부정 보충법 ‘말다’ 실현 양상에 대하여 형태·통사론적 분석을 제시한다. ‘말다’ 보충법 실현은 국지적 성분통어 관계의 의무양태소에 의하여 조건지어진다. ‘말다’ 보충법은 후회의 ‘-을걸’ 문맥에서만 실현되는데 이는 후회의 ‘-을걸’은 의무양태, 추측의 ‘-을걸’은 인식양태에 해당함을 보여준다. 한편 구조상에서 후회와 추측의 ‘-을걸’은 각각 다른 병합 위치를 갖는데 이는 이들이 보이는 다양한 문법적 대조를 자연스럽게 설명해준다.

This paper presents a morpho-syntactic analysis of the realization patterns of negation suppletion -malta, which vary depending on the meanings of -ulkel, an ending ambiguous between expressing regret and conjecture. It argues that the occurrence of the negation suppletion form is conditioned by deontic modality within a local C-command relation. Consequently, -ulkel with a regretful meaning is linked to deontic modality, while -ulkel with a conjectural meaning corresponds to epistemic modality. In addition, it claims that -ulkel, depending on the two interpretations, occupies distinct syntactic positions, thereby leading to their contrasting grammatical properties.

1. 서론

2. ‘을걸’과 ‘말다’ 실현 사이의 상관성

3. ‘을걸’의 중의성에 따른 문법적 특성

4. 결론

참고논저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