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형태론 25권 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비하의 의미를 지니는 ‘-탱이’ 파생어

Suffixal taeng-i derivatives denoting pejoration in Korean

DOI : 10.51157/kmor.2023.25.2.117
  • 79

‘-탱이’는 ‘비하’의 의미를 나타내는 접미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만 ‘-탱이’는 ‘비하’의 의미 외에도 ‘강조’, 나아가 ‘애정, 친밀함’과 같이 긍정적인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이처럼 ‘-탱이’의 의미가 ‘비하’로부터 ‘강조’, ‘애정, 친밀함’으로 확장되는 것은 이와 같은 의미들이 대상에 대한 화자의 평가를 반영한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탱이’라는 형식의 생성 과정은 이것이 지소사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볼 때 가장 합리적으로 설명된다. 이는 범언어적으로 지소사 또한 ‘비하’를 비롯한 ‘강조’나 ‘애정, 친밀함’과 같은 의미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그리고 ‘-탱이’가 ‘-땡이, -팡이, -퉁이, -잡이, -쟁이, -태기, -두라지, -둥아리, -둥이’ 등과 같이 형식과 의미가 유사한 접미사와 어기를 공유하여 유의어를 형성한다는 점도 주요한 근거가 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semantic and formal characteristics of ‘taeng-i'. ‘taeng-i’ is widely used as a suffix in ‘pejoration’. However, aside from the meaning ‘pejoration’, it is also used in ‘emphasis’, even for ‘affection’ and ‘intimacy’, presenting positive connotations. Like so, the meaning of ‘taeng-i’ can include from ‘pejoration’ and ‘emphasis’ to ‘affection’ and ‘intimacy’ because of their commonality in which the speaker uses such words to evaluate a subject. On the other hand, the most reasonable explanation of how the term ‘taeng-i’ was created is that it derived from diminutive. This is to say, from a cross-linguistic perspective, diminutives also include meaning from ‘pejoration’ and ‘emphasis’ to ‘affection’ and ‘intimacy’. Moreover, there is an important factor to consider that ‘taeng-i’ shares the base with other similar suffixes in its form and meaning such as ‘ttaeng-i, pang-i, tung-i, ‘jab-i, jaeng-i, tae-gi, du-la-ji, dung-a-li, and dung-i’ to form synonyms.

1. 서론

2. 기본적 논의

3. ‘-탱이’의 결합 양상

4. ‘-탱이’의 생성 과정

5. 결론

참고논저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