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형태론 25권 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단어 형성 요소의 형태론적 재분석

Morphological Reanalysis of Word-Formation Elements

DOI : 10.51157/kmor.2023.25.2.139
  • 90

최근에 단어의 일부나 축약된 요소가 고정된 형태로 단어 형성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이 국어에서 빈번하게 발견된다. 그러나 이 ‘고정 요소’가 형태론적 지위를 가지는지, 가진다면 어떠한 형태론적 지위를 갖고 있는지,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대해서 명확히 밝히고 있는 논의는 발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이 글에서는 ‘고정 요소’가 형태론적 지위를 가진다는 가설을 제안하고자 하였고, ‘결합형’이라는 개념어를 도입하여 단어 형성 과정에서 생산적으로 출현하고 새로운 기능을 획득하게 되는 요소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형태론적 재분석 양상에 따라 이를 유형화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Recently, it has been frequently observed in the Korean language that a portion of a word actively participates in the process of word formation in a fixed form. However, there is a lack of clear discussions regarding the morphological status of this “fixed element” whether it has a morphological status, what kind of morphological status it possesses if it does, and how it is form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rgue that such “fixed elements” can have a morphological status. By focusing on the phenomenon where elements that were previously used as part of a word appear productively in the process of word formation and acquire new function, the study aims to typologize how they are formed and what they become based on morphological reanaly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ixed elements that were not morphemes in the process of neologism formation become “combining form”.

1. 서론

2. 기본적 논의

3. 재분석에 따른 단어 형성 요소의 도출

4. 결론

참고논저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