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선어말어미의 심리어휘부 표상 방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점화 어휘 판단 과제’와 ‘자기 조절 읽기 과제’를 수행하였다. ‘선어말어미의 유형’과 ‘어간의 사용 빈도’, ‘선어말어미와 종결어미 간 결합 빈도’의 세 가지 요인에 따라 선어말어미가 어휘부 내에서 독자적 표상을 지닐 가능성이 어느 정도로 나타나는지를 관찰한 결과, 고빈도 어간과 결합하는 경우에는 저빈도 어간과 결합하는 경우에 비해 독자적 표상을 가질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선어말어미의 유형 및 선어말어미와 종결어미 간 결합 빈도는 선어말어미의 독자적 표상 가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활용형 전체가 표상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결과를 통하여 한국어 화자의 심리어휘부는 표층어휘부와 심층어휘부의 이중 구조로 되어 있으며, 활용형은 대부분 표층어휘부에 저장되고 어간과 어미는 심층어휘부에 저장되며, 고빈도 용언 어간이 포함된 일부 활용형의 경우에는 정도성을 지닌 채 어간과 어미로 분리되어 활용형과 함께 표층어휘부에 저장될 수 있는 어휘부 모형을 상정할 수 있다.
A 'priming lexical decision task' and a 'self-paced reading task'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presentation in the mental lexicon of Korean prefinal endings. We observed the extent to which prefinal endings are likely to have their own representation in the lexicon according to three factors: 'type of prefinal ending,' 'frequency of the stem,' and 'frequency of conjunction between prefinal endings and final endings,' and found that prefinal endings with high-frequency stems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have their own representation than those with low-frequency stems. The type of prefinal ending and the frequency of conjunction between prefinal endings and final ending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likelihood of being represented independently, and the entire conjugation was more likely to be represented. The experimental results suggest that Korean speakers' mental lexicon has a dual structure of a surface lexicon and a deep lexicon, in which all lexical conjugations are stored in the surface lexicon, and some conjugations containing high-frequency stems are separated into stems and endings and stored in the deep lexicon, where they function as objects of reference.
1. 들어가며
2. 어휘부 모형과 선어말어미의 지위
3. 실험 1: 점화 어휘 판단 과제
4. 실험 2: 자기 조절 읽기 과제
5. 종합 논의: 이중 구조 어휘부와 음운론적 단어
참고논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