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보조사상 第67輯.jpg
KCI등재 학술저널

천태 지의의 불교 철학과 서양의 심리치료이론 접목을 위한 소고

Seeing Psychotherapy theories through Tiantai philosophy

DOI : 10.22859/bojoss.2023..67.010
  • 44

불교와 불교명상의 심리치유적 방법론에 대해서는 그동안 많은 연구가 누적되어 왔으나 대부분의 경우 불교의 방법론을 심리치료의 기법으로 활용하는데 그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서구의 심리치료를 불교적 틀에서 살펴보는 시도를 해보고자 한다. 여러 불교 철학 가운데에서 본 연구는 천태지의의 철학을 그 틀로 삼는다. 논의할 서양의 대표적 심리치료는 정신역동 심리치료, 인지적 심리치료, 인간중심 치료, 자아초월적 심리치료로, 이들은 각각의 인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개별적 심리치료 이론을 정립해왔다. 불교는 서양의 심리치료와 서로 통할 수 있는 부분이 많다. 기본적으로 고통으로부터의 해방이라는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고, 마음의 고통을 구분하는 방식과 해결방식에서 유사점을 찾을 수 있으나, 여전히 깨달음과 심리치료 사이의 간극은 존재한다. 지의의 철학은 이러한 간극을 메우고 하나의 체계로 이 모든 논의를 종합하는 데에 좋은 이론적 틀을 제시한다. 그의 성구적 인간이해는 다양한 인간관을 종합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해주며, 지의 철학의 핵심적인 분류법인 체(體, 근본바탕) 종(宗, 핵심가르침) 용(用, 적용)은 기존의 심리치료법과 불교의 깨달음을 하나의 체계 안에서 이해하게 돕는다. 즉, 인간의 근본바탕에 대한 이해인 체에는 불교적 수행법을, 마음에 대한 근본적이고 원론적 치료인 종에는 정신역동 방법과 인간주의 방법론을, 좀 더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치료방법인 용에는 인지치료를 배치할 수 있다. 이 틀을 통해 다른 심리치료의 경우도 근본적이고 원론적 치료(종)와 응용적이고 직접적 치료(용)으로 나누어서 배치해볼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지의의 십경십승관법은 이들을 종합한 심리치료의 체계로 해석해볼 수 있는 접점들이 있다.

This study aims to attempt an examination of Western psychological therapy from a Buddhist perspective. Among various Buddhist philosophies, this study adopts the philosophy of Tiantai Zhiyi as its framework. Among the Western psychological therapies to be discussed are psychodynamic psychotherapy, cognitive psychotherapy, human-centered therapy, and transpersonal psychotherapy, each of which has established individual psychological therapy theorie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 human being. After examining the common ground between Buddhism and western psychotheraphy I will apply Zhiyi’s system to arrange psychotherapy theories. Tiantai Zhiyi philosophy provides a promising theoretical framework to bridge this gap and integrate all these discussions into a cohesive system. His holistic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offers a foundation to accommodate various perspectives on the human condition. The core classifications in Tiantai Zhiyi’s philosophy, namely “fundamental basis(體),” “core teachings(宗)” and “practical application(用),” aid in understanding Buddhism's enlightenment and existing psychological therapy methods within a unified system. In other words, the understanding of the fundamental basis of the human being can be associated with Buddhist practices, the profound core treatment of the mind can be linked to psychodynamic methods and human-centered approaches, and the more direct and concrete therapeutic methods align with cognitive therapy. Through this framework, other psychological therapies can also be categorized as fundamental and profound treatment or applied and direct treatment.

1. 들어가며

2. 서양의 대표적인 심리치료 이론들

3. 서양의 심리치료와 불교의 접점 검토

4. 지의 철학과 서양심리치료

5. 나가며

로딩중